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 중국철학 해석과 비판
강신주 지음 / 태학사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노자나 장자는 참으로 많은 책들이 있다.

글자 하나하나 구절을 풀이하는 것부터,

인생의 처세를 늘어놓는 잡담까지 책은 가득하다.

 

그런데 막상 노자나 장자의 핵심을 제대로 꿰뚫는 책은 만나기 어렵다.

'노자'를 제대로 '제후에게 바치는 정치 철학서'로 안내하거나,

'장자'를 '양생의 기술 - 생각하지 말고, 보기'로 읽어주는 책을 만나기는 어렵다.

 

강신주의 장자 이야기는 '이야기 책' 장자를 '철학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그의 박사 학위 <장자의 철학 : 꿈, 깨어남, 그리고 삶>으로 건너가는 꼭지들에 대한 사유를 기록한 책이다.

 

 

 

새로운 체계, 새로운 의미, 나아가 새로운 주체를 우리의 힘으로 구성하라는 것!

 

이것을 장자의 교훈이라고 정리한다.

 

장자에 나오는 숱한 우화들을

독자가 편한대로 '제멋대로 살아라'하고 평한 책은 많지만,

'조삼모사'와 '양행', 대대와 무대의 삶을 이렇게 끝까지 밀어붙인 철학자는 만나기 어렵다.

그리고 독자가 알아듣는 말로, 독자를 이해시키지 못하면 자신도 모른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어서,

그가 믿음직스럽다.

 

포정이 조우한

살덩이와 뼈

그 안의 길을 발견한 혜안은

걸어가면 길이 됨을 알았던

삶의 결.

 

포정이 매번

살과 뼈가 뒤엉킨 곳을 만나듯

나는 매순간 만나는

타자 앞에서

걸어가야 하는 존재임을 본다.

 

養生은 良生과 다르다.

良生은 삶의 목표일 따름이지만,

養生은 삶의 도정, 길이다.

삶을 기르는 길.

걸어가면 길이 된다.

道行之而成

 

 

세상은 혼자서 사는 곳이 아니다.

늘 거울에 비친,

자기 자신 아닌 '자기'를 의식하며 살게 되어있다.

그 '待對의식'은 '통념'이고 '관습'이고 '문화'로 작용한다.

이것을 깨뜨리는 힘이 '無對'다.

 

이해와 교감은 인간과 인간의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진정한 '소통'은 통념과 관습을 뛰어넘은 '새로운 주체로 거듭나기'를 추구한다.

쉽지 않은 노릇이다.

 

인간은 통념, 관습, 문화에 매여서 '맹목'적으로 살기 쉽다.

그러나, 골똘히 생각해 보면, 삶은 허무하고 '공허'하다.

그래서 비트겐슈타인의 표어처럼 '생각하지 말고, 보아라(165)'고 했던 모양이다.

 

본다는 것은

'사유 현재'로부터 깨어나서 '존재 현재'에 살라는 장자의 말이다.(192)

 

강신주는 공자의 '내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 시키지 말라'던 의견을 뒤집는다.

'남이 하기 싫어하는 것을 시키지 말라'고 해야 한단다.

내가 하기 싫다고, 내가 육식이 싫다고 남에게 채식을 시키는 일은 폭력이다.

그건 절대적 '선'이 있다고 금긋는 일이다.

 

금을 그어두고, 그 안에만 갇혀 사는 사람은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삶은 참으로 많은 '금' 안에 갇혀 있다.

그래. '존재 현재'에 살라는 그의 말은 <네가 하기 싫으면 시키지 않는> 사유라야 한다.

'금'의 안과 '금을 넘는 행위'는 '사유'와 '존재'의 양식 차이다.

 

노나라 임금의 새 이야기는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자기와 같은 사람을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른 것이지.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지 않은 것이다.(74)

 

새를 기르려면, 내가 가진 '금'을 해체해야한다.

 

나의 욕망과 타자의 욕망이 충돌할 때, 철저하게 뚫어 나가노라면,

길을 걷는 나를 볼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