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강설 사서삼경강설 시리즈 4
이기동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가 추렸단 노래 305편.

조선조에선 아마도 과거 시험의 바이블로 여겨지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이 책에서는 '충성, 효도' 같은 것들로 가득하지 않을까 기대하던 난 깜,놀했다.

이 책에선 조선조에서 그토록 싫어했던 '남녀상열지사'로 가득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무슨 '교훈'을 찾는다면, 어불성설이다.

물론 국가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서있지 않던 시절이지만,

노래의 기본 정서는 사랑이고, 남녀간의 연정이다.

 

교동(狡童, 얄미운 사나이)

 

저 얄미운 사나이 나하고 말도 안해

저 사나이 때문에 밥도 안 넘어가

저 얄미운 사나이 나하고 밥도 안 먹어

저 사나이 때문에 잠도 아니 오잖아.

 

이런 것이 '風' 부분에 가득하다.

뒷부분의 '雅'와 '頌' 부분에선 재미없이 지루하게 봉건 국가의 질서 유지에 대한 말로 그득하다.

마치 용비어천가를 읽는 느낌이다.

 

시삼백, 사무사...가 이 책에 대한 평이다.

시를 삼백 편 모았다... 삿된 마음이 없는 것들이다.

또는 이 시 삼백 편 읽으면, 삿된 마음 사라지리... 이렇게 본다.

여기서 '삿된 마음 사라짐'이 추구하는 바가 곧 '충'과 '효'였을 것이다.

이런 것들을 달달 외웠어야 할 조상들이 참 가엾다.

그들이 공부랍시고 했던 것들이 한심한데,

요즘 아이들이 달달 외는 것들 역시, 영어 단어, 수학 문제에 불과하니 역시 한심하다.

 

누굴위해 아름답게 꾸밀 것인가.

 

첨피기욱 유비군자

 

군자호구 요조숙녀

 

전전반측

 

절차탁마

 

벌목정정

 

이런 말들이 조선의 가사나 현대시에서도 등장한다.

온고지신이라고...

옛 말들에서 이끌어온 비유들도 제법 그럴듯 한 것이 많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고 이윤기 선생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언급된,

벌가벌가 기즉불원~ 같은 구절이다.

 

원래는 혼례의 법도를 노래한 것이라는데,

이윤기 선생은 진리 탐구의 방식은 먼 곳에 있지 않다고 인용했던 듯 하다.

 

아~ 새삼, 이윤기 선생을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