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경이야기
김호성 지음 / 민족사 / 1994년 9월
평점 :
품절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많이 듣던 이 주문은 바로 천수경이라는 불경의 맨 처음 다라니다.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이라니 말로 지은 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이라는 뜻이다.

천수경은 그야말로 천수천안 관음보살님께 나의 지혜를 열어 주시길 빌고, 세계에 자비를 널리 펴 주시길 비는 우리나라에서 중요하다는 불교 경전이다.

그렇지만, 내게는 대학교때 친구로 더 가까운 이름이다. 이름이 그냥 천수경이다. 성이 천이고 이름이 수경. 같은 부산 출신이어선지, 일찍 친해 졌고 그야말로 대학 시절 내내 정말 친한 친구였다. 그런데 졸업하고 근무지도 다르고 하다 보니 어언 이십 년 가까이 만나지 못하고 있다.

불경이라고 해서 상당히 어려울 거란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는데, 막상 읽어 보니, 많은 학자들이 경전을 쉽게 풀이하기 위해 이런 큰 노력들을 기울였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도 쉽게 쉽게 잘 풀어 준다.

정구업진언으로 시작해서, 경을 펴는 게송이 나오는데 참 아름답다.

위없이 높고 한없이 깊은 미묘한 진리   無上甚深微妙法
영원을 흐른대도 만나기 어려워라          百千萬劫難遭遇
다행히 이제 보고 듣고 수지하오니         我今聞見得受持
여래의 진실한 뜻 알고자 하나이다.        願解如來眞實義

그리고 관자재보살에 염원하는 내용, 찬탄의 내용, 참회의 게송이 이어지고,

그 유명한 관세음보살본심미묘육자대명왕진언, 옴 마니 반메 훔 이 등장.

마지막에는 서원을 세우고, 귀의로 마친다.

끝이 없는 중생을 마침내 다 건지오며
끝이 없는 번뇌는 마침내 다 끊으오리다
끝이 없는 가르침은 마침내 다 배우며
끝이 없는 깨달음은 마침내 다 이루리이다

제 마음의 중생을 마침내 다 건지오며
제 마음의 번뇌는 마침내 다 끊으오리다
제 마음의 법문을 마침내 다 배우며
제 마음의 깨달음을 마침내 다 이루리이다

불교 신자가 아니라도, 그 생각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감동의 도가니다.

계정혜의 삼학, 스스로 경계하고, 마음을 가라앉히며, 지혜의 눈으로 깨닫는 공부.

이것을 다만 공부의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염불 또는 진언을 염하는 사이에 자기도 모르게 모든 번뇌의 씨앗들을 비우게 되는 것이 천수경의 역할이라 한다.

몰록 계합의 순간을 얻어 깨닫게 되는 돈오의 경지든, 꾸준히 염하고 되뇌어 깨닫는 점수의 노력이든 기본은 스스로를 경계하는 것이란 말에 동감을 표한다. 당분간 불교 경전에 재미를 붙이게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