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엔 부처도 갈 수 없다 - 깨달음으로 가는 외길
대우 지음 / 현암사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그 곳엔 부처도 갈 수 없다. 그 곳은 없다. 부처도 없다. 천상천하 유아독존.

대우 스님의 법강을 적어 놓았다.

지난 번 읽은 선으로 읽는 금강경이 <너무 쉽게> 풀이되어 있어서, 참 고마웠는데, 이 책에는 그 책보다 좀 어려운 말들이 많이 튀어 나왔다. 과학에 비유를 든 것도 많고... 한자어도 어려운 것이 많고... 선문답도, 게송도 낯설고 어렵다.

그렇지만 요지는 하나다. 선 지식이란 것은 채워나가는 것이 아니라, 비워나가는 것이라는 하나. 그리고 그 하나를 깨닫지 못하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는 사실. 이 둘이 하나라는 사실.

어리석게도 이런 책을 읽으면, 뭔가 알아간다는 착각이 들고, 나를 비우고 있다는 망상을 한다.

어리석고 또 어리석도다.

오늘은 적게 먹으려고 노력했다. 적게 먹으려고. 적게 먹으면 어떻게 되어서가 아니라, 그저 적게 먹으려고 노력했다. 천천히 꼭꼭 씹어 먹었다. 고혈압에는 체중 감량이 필수라는데...

살을 빼려고라기 보다, 체지방이라도 자꾸 뭔가를 가지는 건 미운 거란 생각이 들었다.

자꾸 뭔가 생각을 한다.

오늘은 교사의 일기 검사가 사생활 침해일 수 있다는 판단이 나왔다. 사람들이 왈가왈부가 많다.

난 찬성도 반대도 아니다. 아들이 1,4학년 때, 선생님께서 일기를 열심히 읽어 주시고 아들을 인정해 주자 아들의 문장력은 엄청 자랐다. 내가 불러준 것도 많았지만, 선생님께 잘 보이려고 좋은 문장들을 많이 만들어 적었다. 선생님이 관심을 가져 주신다면 일기 검사는 프라이버시 침해 보다는 훌륭한 의사 소통 공간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들이 2,3,5,6학년때 선생님은 싸인만 해서 돌려 준다. 아이들은 이럴 경우 일기 쓰기가 노가다라고 생각한다. 우리 아들은 그나마 엄마, 아빠가 제 일기 읽는 낙으로 사는 줄 잘 알기 때문에 잘 쓴다. 그러나, 우리에게 보여주는 일기가 제 본심의 모두는 아닐 것이다.

누군가는 교육적으로 일기 쓰기 검사가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서 권장했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선생님들은 정말 일기를 효과적으로 교육에 활용했다. 그치만 대부분의 게으른 교사들은 일기 검사를 핑계로 자습을 시키고, 대-충(요즘 세간에 이 말이 유행이다. 까잇거, 대충하면 되지, 뭐.) 읽어 보고 싸인만 해 버리는, 아 며칠마다 한 번씩 검사하고 말더라. 아무리 멋진 일기를 써도, 아무리 솔직한 일기를 써도 칭찬 한 마디 안 내비치는 교사들. 천지로 많다.

우리 교육의 문제점. 좋은 거라면 발전 시킬 생각은 하나도 안 하고, 일방적으로 지시한다.

선생님들, 일기 검사 하세요.
선생님들, 수행 평가 하세요.
선생님들, 청소 감독 하세요.
선생님들, 싸움 못 하게 하세요.

일기 검사가 학급 운영과 학습 단계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하고, 나머지 교사는 안 할 수 있는 자율성이 있어야 한다.

정말 걱정되는 건, 이제 학교장들은, 그 어리석고 힘없는, 용심으로 가득한 자들은

선생님들, 일기 검사 하지 마세요.

라고 지시할까봐 두렵다.

학교마다 자율성은 있어야 한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반대 의견이 좀 있다 한들, 학교가 하겠다는 고집도 좀 있어야 한다. 자율성과 강제성은 다르다. 자율성에는 토론과 합의, 그리고 책임과 권리가 따르는 것이고, 강제성은 일방적 지시와 의무만 따르는 것이다.

학생들의 머리를 교사가 잘라버리는 것은 강제성에 가깝다. 그렇지만 토론과 합의, 책임과 권리를 지킬 수 있는 규칙을 만들고, 이것을 실행에 옮기는 자율성은 인정해야 한다.

무엇이 옳다, 옳지 않다는 것. 무엇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이것들에는 반드시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끼어든다. 어리석게도 나에게 이익이 될 것 같으면 옳다고 한다. 나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면 성을 낸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은 욕심을 부리고, 하지 말아야 할 것에도 어리석게도 팔을 뻗친다.

옳다는 말도 없음을, 물처럼 흐르면서 흐르지 않고, 시간이 흐르면서도 정지된 학교라는 프레임 속에서 나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에 얽매여, 하루하루 중생으로 살아간다.

마음에 종이 나면 여러 법이 생기고, 마음에 종이 사라지면 여러 법이 사라진다는데... 심생종 종법생 심멸종 종법멸...

그래도 따스한 햇살 가득 받은 화안한 벚꽃나무 아래서 싱그럽게 뛰어다니는 황금기들을 바라보는 곳에 산다는 한 가지 만으로도 이 중생은 행복하다. 아, 다시 교사라서 행복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원 2009-01-07 0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그곳엔 부처도 갈 수 없다'의 저자'대우거사'와 '선으로 읽는 금강경'의 '대우스님'을 혼동하셨네요...
각기 다른 저자이신데요...
게다가 저는 이책을 아무리 읽어도 중생살이를 행복하게 잘꾸려나가는법을 일러주고 계시지는 않던데요. 오히려 모든 판단이나 사고 생각자체를 멈추고 곧바로 그 생각의 당처로 직입하여 본래의 자신을 알라하시더군요...
한번 더 읽어보시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