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비소리 - 나를 깨우는 우리 문장 120
정민 지음 / 마음산책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죽비 소리.

내가 졸고 있을 때, 마음을 놓치고 있을 때, 스승님께서 등짝을 내려치시는 그 서늘한 소리를 기대했는데, 야금 야금 읽어가는 동안 간혹은 마음에 차는 글도 있고, 때로는 받아적고 싶은 글들도 만났지만, 제목 만큼의 서늘함을 얻지는 못한 듯하다.

유광익의 그릇,

영남 사람들이 이원익과 유성룡을 일컬어 이렇게 말했다.
“이원익은 속일 수는 있지만 차마 속이지 못하겠고,
유성룡은 속이고 싶어도 속일 수가 없다.”

날카로우면서, 부드러운 오묘한 맛이 있고,

이제현의 숙독,

지극히 오묘한 말은 오래되어야 맛을 알게 되고

낮고 가벼운 작품은 언뜻 보기에는 좋아 보인다.
배우는 사람은 책을 볼 때, 마땅히 되풀이해 읽고 깊이 생각하여 글쓴이의 뜻을 얻으려고 기약해야 한다.

 

책읽기의 한 단면을 보여 주고

 

이덕무의 하루,

 

해는 묘시에 떠서 유시에 진다.

그 사이에 책을 읽지 않고 마음을 거두지 않으며,

스승과 벗을 마주하지도 않고, 하는 일도 없이 빈둥빈둥 이리저리 어슬렁거리며 시끄럽게 떠들고 망녕된 생각이나 하며,

비스듬히 기대 앉거나 벌렁 드러눕고, 바둑두고 장기 두거나 미친 놈처럼 술에 취하고,

한낮에 잠이나 퍼잔다면, 여유럽게 스스로 즐거워한다 할 만하다.

밤에 자다가 깨어 어제 내가 한 일을 가만히 생각해 보면

사람의 일을 갖추지 못함이 마치 몸에 마비가 와 거동이 불편한 반신불수나 다름이 없다.

반나절을 허랑하게 보내는 것은 비유하자면 상란을 만나 결혼할 시기를 놓치는 것이나,

홍수나 가뭄으로 씨 뿌리고 거둘 때가 어긋나는 것과 비슷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하지만 상란과 홍수나 가뭄이야 어찌 내 스스로 한 것이겠는가?


게으른 나를 깨우쳐 주며,

 

권근의 수졸,

 

졸한 것은 교묘한 것의 반대다.

임기응변의 교묘한 짓을 하는 자는 부끄러워하는 것이 없다.

부끄러움이 없는 것은 사람의 크나큰 근심이다.

남들은 이로움을 즐겨하여 구하려 나아가도,

나는 부끄러움을 알아 그 의로움을 지키는 것이 ‘졸’이다.

남들은 속임수를 즐겨 교묘한 짓을 하지만,

나는 부끄러움을 알아 그 참됨을 지키는 것 또한 ‘拙졸’이다.

졸이란 남들은 버려도 나는 취하는 것이다.

 

낮은 것의 미학을 가르친다.

 

옛글을 이렇게나마라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오롯이 정민 선생의 덕이라 할 만한데, 정민 선생의 설명이 좀 부연되는 듯한, 구차한 듯한 느낌이 든다는 건방진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죽비 소리 울리는 청정한 마음을 담기에는 하드 커버와 반들거리는 윤기나는 종이가 너무 과분하지 않은가... 하는 주제 밖의 생각이 이 책을 주전부리 삼는 한 달 동안 내내 든 것은 내 생각이 그저 빈 생각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망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