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수수께끼 - 역사 속으로 떠나는 우리말 여행
시정곤 외 지음 / 김영사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년 전쯤, 문화관광부에서 <국어기본법>이란 것을 만들려 했다. 공청회까지 열었는데, 나중에 어떻게 결말이 났는지는 모르겠다. 그 요지는 국어 사용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외국어 사용에서 국어를 보호해야 한다는...

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 생각했던 것 같다. 요즘 외국어 학습은 특기가 아니라, 생활로 접어들어가고 있으며(유치원부터 초딩까지도 영어학습에 힘쓰는 걸 보면...) 너무 우리것만 소중한 것이라는 태도는 배타적 민족성을 강화할 소지도 있다고 생각한다. 안 그래도 자기 나라 말을 <국어>라고 말하는 나라는 일본과 우리뿐인데, 일본도 일본어로 바꾸려 한다는데 말이다. 우리도 당연히 한국어라는 말을 써야 한다.

역사 속으로 떠나는 우리말 여행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에는 문자의 탄생, 이두 문자, 훈민정음, 철자법 등에 대해 네 명의 저자가 논의를 하고 있다. 레포트나 논문을 준비하면서 읽은 것이 아니라, 그저 국어 교사로서 관심사를 읽는다고 읽은 책으로는 재미없었다. 국어학에 대해서 너무 공부를 게을리해서 그런지 새로운 것도 많았지만, 이 책은 간단간단한 레포트 적기에 좋은 책인 듯 하다. 내가 논문 적을 때 미리 읽었더라면 좋았을텐데... 논문을 미리 준비하지 못한 소치일 것이다.

인문학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저속한 퇴폐적 상업주의 시대에 <국어학>이란 분야는 정말 장사 안 되는 분야다. 한문학에 정민 선생님이 계시듯이, 미학에 유홍준 교수가 계시듯이, 우리 인문학에도 이런 시도가 많이 이뤄지는 것은 좋은 일이다.

깊이있는 컨텐츠를 일반인들이 소화하기 쉬운 작품으로 만들어 내는 일이 이 시대의 인문학도들이 해내야 할 일이다. '우리 나라에 <인물> 없음을 한탄하지 말고, 네가 <인물>이 되어라'던 도산 선생인가의 꾸짖음을 감당할 능력이 내게는 없음을 잘 알기에 석사 겨우 마친 것으로 만족하기로 했지만, 아이들을 잘 가르치는 교사는 계속 공부하는 교사임을 나이가 들수록 깨닫기에 다시 게으른 나를 재우쳐본다. 박사 학위 가는 길은 내 몫이 아님을 알기에 나름대로 길을 찾아 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