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e - 시즌 8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지식e 8
EBS 지식채널ⓔ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5년이던가?

전교조 젊은 샘들을 중심으로 ebs 지식채널 프로그램을

좋다고 입소문을 내고,

시디로 구워서 나눠가지고,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그랬다.

그 당시만 해도, 교실에 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은 학교가 많아서,

저작권 침해를 제법 한 것이다.

 

그러다 요즘엔 노트북으로 교실에서 바로 틀어줄 수도 있고,

우리학교처럼 아이들이 성실하게 시청하는 학교에서는

아침 영어듣기 청취 전에 한 꼭지씩을 틀어주곤 한다.

 

'지식'이란 것이 한없이 넓은 분야들에 대한 탐험이므로,

그 이야깃거리는 한도 끝도 없게 마련이지만,

이 프로그램 피디들의 지식에 대한 사랑 역시 끝없이 샘솟는 물길같단 생각이 든다.

 

이번에 나온 8권에선 주로 '사람들'에 관한 것들이다.

민주주의가 1980년대 수준으로 퇴화하고 있는 '자유를 앗긴' 나라에 살면서,

산소가 부족해 버끔거리며 숨쉬기 가빠하는 사람들에게,

작은 산소 방울이라도 끊이없이 제공하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이 책을 읽는 일은, 용기를 얻는 일이기도 하고,

처음처럼... 초심을 다잡는 일이기도 하다.

 

시대가 아무리 마음에 안 들더라도

아직은 포기해선 안 된다.

세상은 결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에릭 홉스봄)

 

이 말이 아마도,

방송 피디들이, 작가들이 작지만 큰 울림을 바라며 외치고 싶은 소리일 것이다.

대선에서 지고, 온갖 분야에서 민중에 대한 억압은 잔인해져 가고 있는데,

방송의 뻘짓은 갈수록 커져만 간다.

 

이명박 시절처럼 큰 건수가 터지지 않고 지나가고는 있지만,(어휴, 그 당시엔 숭례문 소실, 촛불과 소고기, 4대강, 미디어법, 용산, 쌍용차, 제주 강정 등... 이미 손댈 걸 다 대서 그런가?)

 

프랑스 전 교육부 장관이란 사람의 이야길 들으면서 반성한다.

 

시민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무엇을 원하게끔 하는 데 있다.(레옹 베라르)

 

한국처럼 학교에서 경쟁만을 일삼게 획책하는 교육부는 폭파되는 것이 좋을 성 싶은데,

중학교의 자유학기제라는 발상은,

안 그래도 지금처럼 교실붕괴를 한탄하는 중학교 교실에 휘발유를 뿌리는 일이 아닐는지 모르겠다.

 

리처드 파인만은 말했다.

 

무언가를 발견하는 즐거움보다 더 큰 상은 없다.

내가 하려는 일이 물리학의 발전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는 중요치 않다.

문제는 그 일이 얼마나 즐겁고 재미있느냐다.

 

대학자라서 가능한 여유일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나이가 들면서,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누리며 살아온 생은 아니더라도,

즐겁게 나이들고 싶다.

 

그 발견은,

새로운 것의 발견보다는,

고전 속에서, 나를 발견하는 공부로 뻗어나가려는 방향을 잡게 될 것도 같은데,

그 일을 얼마나 즐겁고 재미있게 하느냐가 지속성의 관건이겠다.

 

---------------------------------------

 

이 책은 '사회, 역사'에 대한 고찰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데,

그래서 시비를 걸고자 하는 구절이 두어 군데 있다.

 

189쪽. 1949. 6. 27 백범 김구가 피살당했다. ---> 26일이다.

197쪽. 1919. 4. 11 3.1운동의 대의를 이어받아 수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 13일이다.

199쪽, 202쪽. 마찬가지... 1919. 4. 11---> 13일로 고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