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은 비타민보다 훨씬 효과가 좋다! - 칭찬의 기술.꾸짖는 기술
후쿠다 다케시 지음, 고정아 옮김 / 일송미디어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칭찬. 칭찬에 대한 책은 참 많지만, 처세술 관련 책들이 그렇듯 좀 가볍고 부실하기 쉽다. 이 책도 표지로 봐서는 상당히 싸구려틱하다. 내용도 특별할 것이라고는 별로 없다. 그러나 칭찬과 꾸짖기에 대해 생각해 볼만한 것들이 상당히 잘 체크되어 있는 듯 하다. 돈 주고 사 보긴 좀 아깝지만 도서관에서 빌려 볼 만한 책이다. 앞으로 한 학기에 한 번 정도는 칭찬 관련 책들을 읽어야겠다. 그래야 좀 아이들에게도 너그러워지고 칭찬도 하는 선생님이 되지 않을까? 비타민보다 효과가 있다는데...

 

상투적인 칭찬은 식상하다. 그럴 때, 여유있는 칭찬이 필요하다. 미인에게는 귀엽다, 아름답다, 매력적이다 말고, <청바지가 잘 어울린다>고 해야 좋아하고, 노련한 사업가에게는 정말 훌륭한 사업가라기보다는 <수염이 멋지다>고 하면 좋아한단다. "상당히 아름다운 여성이나 아주 못생긴 여성을 칭찬할 때는 그녀의 지성을 칭찬하라. 그리고 중간 정도의 여서에게는 그녀의 미모를 칭찬하고. 아름다운 여자에겐 아름답다고 말할 필요도 없고, 못생긴 여자에겐 그렇게 말해도 믿지 않지만, 중간의 여자에게 미모에 대해 칭찬해 주면 좋아한다."

 

"여자에게 절대 거짓말을 하지 못하는 남자는 여자의 기분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남자다." 여성들은 <정서 공감형>이어서 연속극을 보다가도, 자기도 저럴거야? 라든지, 다시 태어나도 나랑 결혼할거냐는 황당한 질문들을 잘 하는 반면, 남성들은 <문제 해결형>이기 쉬워서 '그게 뭐가 문제가 된다는 거야? 연속극이나 볼 일이지... 다시 태어나면 그 때 생각할 일이고...'하기 쉽다. 이 때, 거짓말을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 구구절절이 옳은 말이다. 나도 거짓말 잘 못하는데...

 

"인사는 창피해하지 않고 기운차게" "인사는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길" "인사는 마음에 남는 선물" "래포(rapport)는 커뮤니케이션을 나누는 사람의 마음과 마음 사이의 교신이다. " 기분 좋게 인사하고, 웃으며 먼저 서슴지 않고 인사할 것.

 

그리고 칭찬은 그 사람의 심리를 파악해, 그이에게 가장 소중한 것, 애틋한 것을 칭찬해 주는 것이 좋다. 심리학에 <확대 자아>란 말이 있다. 자아의 확대에는 가족이나 자신이 소유하는 물건, 소속된 직장들이 포함된다. 그것을 칭찬하는 것은 본인을 칭찬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반대로 그것을 모욕하는 것은 본인에 대한 모욕일 것이고... 새 학기 내가 부임할 학교의 아이들이 공업계 고등학교인 만큼 <확대 자아>에 대한 손상이 클 것이다. 그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조심, 또 조심할 일이다.

 

괴테가 "인간은 노력하는 만큼 망설이는 존재다."라고 했단다. 노력하는 만큼 흔들림이 따른다. 시도하지 않으면 실패가 없지만, 실패해 보지 않은 인생은 이미 실패한 인생이란 말이 있다. 흔들림은 노력의 징표이므로 흔들림을 애정을 가지고 따스하게 칭찬해 주는 눈을 길러야 하리라. 원래 덕이 없는 사람이 남의 덕을 질투하는 법이다. 내 마음을 따스하게 길러 질투의 눈을 녹이고, 칭찬의 햇살을 기르자.

 

일의 시작과 끝, 이 때 칭찬하면 효과가 큰 것을 <양단 효과>라고 한단다. 어떤 일의 시작과 끝에는 인상이 모이기 쉽다. 첫인상이 그만큼 강하다는 것이다. 학기초 아이들의 모습 하나하나 놓치지 않도록 마음을 쓰라는 말이겠다. 아낌없이 칭찬하자. 칭찬의 목적은 현상을 만족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다음 단계로 아이들의 성장 의욕과 자신감을 길러 주는 것이 될 것이므로...

 

꾸지람도 중요하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아이들이 사고를 저지르면 솔직히 아이들이 밉다. 어떤 아이는 저렇게 어려운 속에서도 꽃같이 별같이 자라는데, 저놈은 웬만한 가정에서 저렇게 망나니가 된 걸 보면, 저자식은 원래 못된 인간인가봐.... 할 때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어른이 되어 만나면 그놈이 그놈이고, 못된 송아지 엉덩이 뿔나지만, 그 송아지가 못나서 선산을 지키는 나무가 될 수도 있는 것 아닐까? 잘난 놈들이 차떼기로 사과 박스로 돈 처먹어 가면서 부끄러운 줄 모를 때, <친구>의 유오성은 '쪽팔린다 아이가?'하고 <염치>를 아는 것처럼 말이다.

 

아이들을 야단치더라도 이 생각을 깨달아라. <잘못은 단순한 숫자의 불일치와 같을 수 있다. 몸을 낮출 필요는 없다. 자신에 대해서는 가슴을 쭉 펴라.> 내 동생이 전방에서 운전병(운전병은 값비싼 차를 몰기 때문에 군기가 세기로 유명하다.)으로 근무할 때 선임하사가 이런 멋진 말을 했단다. "자네가 계급이 일병이지, 인간이 일병은 아니지 않은가." 인간에 대한 신뢰 없이 꾸짖는 것은 모독에 다름 아니란 거다. 꾸짖음의 커뮤니케이션. 그 섬세함과 통렬함. 과연 꽃으로도 인간을 때릴 수 없는 것이다.

 

칭찬은 뜨거울 때, 꾸짖는 것은 조금 식은 뒤에... 하라고 한다. 칭찬은 그 아이가 없어도 조회 시간에 마구 칭찬한다. 그러면 다른 애들이 샘내면서 그 아이한테 다 일러준다. 내가 칭찬 엄청 했다고... 언젠가는 그 아이는 부끄럽게 고맙다고 한다. 꼭 그런다. 그리고 지각한 놈, 눈에 보이면 한대 쥐어박게 되어 있다. 헌데 아예 1교시 시작 후에 온 놈은 감정이 식어 버려서 안 쥐어 박힌다. 그런 이치를 다 꿰고 있는 12학년 고딩들에겐 이기기 어렵다. 그러면 나름대로 위로하는 법이 있다. 지는 것이 이기는 거라고...

 

프로야구 감독이 "시합에 이겼을 때는 선수가 잘 한 결과이고, 패전의 책임은 어디까지나 감독이 져야 한다."는 명언이 있다. 부하 직원이나 아랫사람에게 탓을 돌리고, 상사나 윗사람에게 덕을 돌리는 것은 <아부>에 지나지 않는다. 책임감 있는 상사와, 패기 넘치는 부하, 따끔한 충고와 따뜻한 칭찬, 적절한 꾸짖음과 화끈한 지원, 상을 받을 때 믿음직스럽게 주고, 벌 내릴 때는 반드시 내리는 <신상필벌>의 한 마디를 책으로 적다 보니 한 권이 되었고, 나도 리뷰를 쓰다 보니 주절거리고 앉았다.

 

그래도 적는 만큼 생각하고, 쓰는 만큼 나중에 돌아볼 때 생각할 거리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이 리뷰의 가치를 매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