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생각나무 ART 22
손철주 지음 / 효형출판 / 1998년 1월
평점 :
절판


손철주, 1953년생, 현재 국민일보 문화부장(98년 당시), 7년 동안 문화부 기자...

이 사람이 쓴 미술 에세이를 읽을만 하겠는가 어떤가... 아마 요즘 이런 경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책을 낼 염을 못냈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이 책은 많이 실망스럽다.

제목이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이다. 그럼, 작가는 그림을 어느 정도 아니깐, 내가 보여주는 대로 보면 그림이 보일 거란 생각일텐데...

이 책의 가장 큰 단점은 아는 척은 많이 하지만, 실상 그림도 없고 그림에 대한 해설도 턱없이 부족하다. 그게 불평의 전부다. 책은 그림과 작가, 작품, 우리 미술 등에 대한 개인적인 '가십'을 유감없이 펼치고 있다. 작가는 아마 나를 30년 지기 정도로 생각한 모양이다. 그가 "있잖아. 그 왜 전에 우리랑 같이 놀다가 만..." 하면 "아, 있었지. 그애가 왜?"하고 맞장구를 칠 줄 착각한 모양.

특히 현대미술에 많은 할애를 하고 있지만 내가 모르는 그 사람들에 대한 가십 거리는 정말 허탈하게 한다. 미술계에서 잰 체 하는 사람들이 잘 쓰는 말로 '아방가르드'라는 게 있다. 열린 마음, 트인 감각, 앞선 정신 이란 뜻이 들어있는 용어란다. 그는 자신이 미술 비평계의 아방가르드 기자라고 착각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런데, 나는 왜 가끔 가다 한 권씩 미술책을 보고 싶어지는 걸까... 웬디 수녀님이나 오주석씨, 이주헌씨 등의 글을 좋아하는데... 이 책의 마지막에 내 마음을 읽어주는 이야기가 있어서 그나마 반가웠다.

<미술에 무슨 뜻이 담겨 있나> 피카소에게 '무얼 그릴 것인지, 어디가 아름다운 건지 통 모르겠어요'하고 물으면, "그러면, 산새 울음소리는 곱습디까?"하고 반문했단다. "물론 곱지요" "그러데 우는 소리에 무슨 뜻이 있는지 압니까?" "글쎄요..." "바로 그거죠. 새소리가 아무  의미없이 아름답듯이 미술의 아름다움도 마찬가지......."

<미술은 어떤 쓸모가 있을까?> 樹話 김환기가 서울에서 생활하던 시절 그의 서재엔 조선 백자들이 여기저기 널려 있었단다. 친구들이 "도자기가 있어 혼자 살아도 외롭지 않겠다"고 덕담하자 수화 왈, "다른 건 몰라도 글 쓸 때나 그림 그릴 때는 요게 꼭 제 값을 한단 말이야. 상이 떠오르지 않을라치면 백자 엉덩이를 손으로 슬슬 문지르기만 해도 신통하게 풀리거든."

내가 미술책을 보고, 전시회에 얼굴을 내미는 것도... 어떤 쓸모가 있어서가 아니라, 꼬여버린 머릿속의 회로를 풀어주는 마법에 취해보고 싶어서라고 해 두자. 그런 정도로 저자를 용서하자. 정년을 앞둔 교장들이 잡문집 한 권씩이라도 내려고 하듯, 한 가지 분야 일에 7년이나 종사한다면 이런 책 한 권쯤 쓰고 싶어지는 건 인지상정이라 생각하고... 그나마 이하응의 이 그림 한 점 건진 것이 소득이라면 소득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