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지 않는 아이
펄 벅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떨쳐 버릴 수 없는 슬픔을 인내하는 법은 혼자서 배워 나갈 수밖에 없다. 또한 참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억눌린 슬픔은 씁쓰름한 뿌리처럼 삶에 박혀서 사람을 병들고 우울하게 하는 열매를 맺어 다른 사람의 삶까지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내는 시작일 뿐이다. 슬픔을 받아들여야 하고, 슬픔을 완전히 받아들이면 그에 따르는 보상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슬픔에는 어떤 마력이 있기 때문이다. 슬픔은 지혜로 모양을 바꿀 수 있고, 지혜는 기쁨을 가져다 줄 수는 없을지 몰라도 행복은 줄 수 있다.”


“세상에는 두 가지 종류의 슬픔이 있다. 달랠 수 있는 슬픔과 달래지지 않는 슬픔이다. 달랠 수 있는 슬픔은 살면서 마음 속에  묻고 있을 수 있는 슬픔이지만, 달랠 수 없는 슬픔은 삶을 바꾸어 놓으며 슬픔 그 자체가 삶이 되기도 한다. 사라지는 슬픔은 달랠 수 있지만 안고 살아가야 하는 슬픔은 영원히 달래지지 않는다.”


“나는 행복이 아이의 환경이 되게 해주어야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이에 대한 기대, 긍지도 모두 버리고, 있는 그대로 아이를 받아들이고, 아무 것도 기대하지 말고, 다만 흐릿한 아이의 정신에 어떤 빛이 반짝일 때 감사하기만 하겠다고 결심했다. 아이가 가장 행복하게 지낼 수 있는 곳에 아이의 집을 마련해 주면 되는 것이었다.”


“당신의 아이가 당신이 바란 대로 건강하고 멀쩡하게 태어나지 못했더라도, 몸이나 정신이, 아니면 둘 다 부족하고 남들과 다르게 태어났더라도, 이 아이는 그래도 당신의 아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아이에게도 그것이 어떤 삶이든지 간에 삶의 권리가 있고, 행복해질 권리가 있어서 부모가 그 행복을 찾아 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있는 그대로 아이를 받아들이고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들의 말이나 시선에 신경 쓰지 말아야 한다. 이 아이는 당신 자신과 세상 모든 아이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존재이다. 아이를 위해, 아이와 함께 아이의 삶을 완성해 주는 데에서 틀림없이 기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고개를 당당히 들고 주어진 길을 가는 것이다.”


“인간으로 대한 것 뿐이죠”

“행복이 있으면 다른 것은 저절로 따른다. - 아이의 정신과 마음에서 불행이 사라지지 않으면 아이에게 아무 것도 가르칠 수 없다. 행복하지 않은 아이는 아무 것도 배울 수 없다.”


“감정은 지능과는 무관하다.”


펄 벅 여사가 노벨상 수상자이며, ‘대지’를 지었다는 것은 간단한 상식에 속한다. 그러나 그의 캐롤이라는 딸이 정신지체라는 장애를 가진 아이였고, 그래서 그의 삶이 상당 부분 일그러졌으며, 그의 삶의 많은 부분은 전쟁으로 발생한 미국-아시아의 ‘기대하지 않은 아이’로 태어난 혼혈들의 <입양>에 할애되었다는 것은 이 책을 읽고서야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이다.


그의 글을 읽으면서, 어머니의 마음은 누구에게나 마찬가지란 걸 느끼게 된다. 자식의 아픔은 부모에게 결코 잊을 수 없는 아픔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장애를 가진 아동을 기르면서 당면하게 되는 부모의 심리적, 사회적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다. 장애 아동의 부모들이 빠지기 쉬운 수렁에 이런 객관적인 경험담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사실 이 책은 그런 역할을 오랜 동안 해 왔다.


한국 전쟁 이후, 우리 나라의 많은 아이들이 혼혈로 태어났고 이 땅에서 버림받은 이야기는 숱하게 있었지만, 그들의 입양에 펄 벅이 노력했다는 이야기는 다시금 아픈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 자신의 슬픔을 문학과 사회에 대한 봉사로 ‘승화’시킨 펄 벅의 인간상이 불굴의 어머니, 사랑과 자비의 어머니의 모습을 잘 구현하고 있다.


아픈 사람들은 도처에 흔하다. 하지만,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고, 한 <인간>으로 대우하는 인격적인 사회는 아직도 우리에겐 요원한 듯 하다. 이런 개인적인 경험들이 쌓이고 쌓여 장애 교육과 특수 교육이 일반 교육과 통합되는 과정에 녹아들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의 영문 제목에서 차일드를 대문자로 적은 어머니의 마음을 상상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