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 학교의 행복 찾기
여태전 지음 / 우리교육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경남 산청에 간디학교가 있다. 경남교육청에선 골칫거리라고 인가해주지 않으려고 했던 골치아픈 학교다. 어느 고등학교 교사가 그 골치아픈 학교를 애정을 가지고 관찰했다. 기록은 상당히 객관적이고, 잘 짜여져 있다.

꿈꾸지 않으면 사는 게 아니라고

별 헤는 맘으로 없는 길 가려네

사랑하지 않으면 사는 게 아니라고

설레는 마음으로 낯선 길 가려 하네

아름다운 꿈꾸며 사랑하는 우리

아무도 가지 않는 길 가는 우리3들

누구도 꿈꾸지 못한

우리들의 세상 만들어 가네

배운다는 건 꿈을 꾸는 것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

배운다는 건 꿈을 꾸는 것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

우리 알고 있네 우리 알고 있네

배운다는 건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

 

간디학교 학생과 교사들이 함께 부르는 노래, <꿈꾸지 않으면>

 

이 노래는 이 학교에서 지어 부르는 노래다. 간디학교의 싹은 제도권 교육에 대한 불신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공교육이 아이들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것임을 누구나 알고 있으면서, 임금님이 벌거벗었음을 말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서 그들은 떨어져 나간 것이다. 희망이란 불씨만을 안은 채.

 

한국 교육의 구조적 모순을 인식한 간디학교 사람들은 교육이란 문제를 언제까지 정부, 제도 탓으로만 돌릴 수 없었다. 비판만 하고 있기에는 우리 아이들이나 우리 자신에게 인생이 너무나 짧고 소중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들이 옳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인생은 정말 소중한 것이고, 그러기에 너무 짧다.

간혹 아이들 중에, 살아갈 일이 끔찍해요... 라는 말을 듣는다. 그 아이들에게 인생은 정말 소중한 것이 아닐 지도 모른다. 그래서 너무 길고 지루한 것인지도...

 

아이들이 희망을 갖고 살아야, 인생은 소중하고, 짧아서 허투루 살 수 없는 것이 된다는 것을 그들은 안다. 그래서 산골로 가서, 부유하지 않게 살고 있다.

 

‘사랑과 자발성’ - 간디학교에서 자발성이 없다면 그곳은 이미 자율학교도 아니고, 대안학교도 아니다. 자발성과 관심이 곧 사랑의 정신을 배울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게 한다.

‘행복과 탁월성' - 자신의 선택이 탁월했음을 믿고, 행복하게 살 수 있기 위해서는 희망이란 불씨를 소중하게 안고 가야 한다.

 

물론 간디학교는 보통의 여느 학교처럼 순탄하지 않다.

학생 모집부터, 교사의 질, 교사의 고용과 보수 지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학부모의 참여. 이 모든 면에서 보통 학교들처럼 매끄러운 매너리즘을 따를 수 없다. 모든 것이 처음이고, 모든 것이 1회용이다. 수업도 한 번으로 끝이고, 축제도 한 번으로 끝이고... 그러나, 우리 삶이 원래 한 번으로 끝인 것 아니었던가? 자기 자식에게 그토록 마음 졸이는 것은 결국 자식의 인생은 일회성이기 때문이 아닐까? 내가 우리 반 아이들의 진로지도를 그 아이에겐 인생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렇게 불성실하게 할 수 있을까?

 

보통의 교사들은 공교육의 보수적 매너리즘에 빠진 채, 성실함 정도로 그 빈 틈을 메워보려고 발버둥친다. 그러나,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진 코트는 결국 어느 순간엔가는 단추를 다시 열어야 함을 느끼게 하듯이, 개인의 성실함만으로 그 구조적 모순의 갭을 메우려는 것은 애시당초 불가능한 일임을 그들은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오늘도 실패하고 있다. 그러나, 실패만이 성공의 어머니임을, 에디슨에게 2000번의 실패를 어떻게 극복했느냐고 물었을 때, '난 한 번도 실패한 적이 없다오. 2000번을 시도했을 뿐'이라고 했음을 기억한다면, 그들의 실패는 우리 교육의 훌륭한 하나의 대안이 될 것임을 믿을 수 있다. 비록 그 길이 멀고 험할지라고,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기 어려운 세상에,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고 외치는 교사들이 있음에... 그리고, 스스로 자율적이지 못함을 질타할 줄 아는 간디인들이 있음에... 그들은 꿈이 없는 곳에, 삶도 없음을 잘 알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