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 넘어서 - 2010년 개정증보판
이한 지음 / 민들레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나도 작년까지, 고등학교 학부모였다.

올해 아이가 대학생이 되어,

자율적으로 일어나서 학교로 가고(가까운 중고교는 늘 지각이었는데, 먼 대학교는 잘 간다.)

여름방학도 반납하면서 동아리 활동에 땀을 흘리고,

스스로 시험준비와 영어 공부를 하는 것을 보면 든든하다.(스스로보다는 여자친구가 시키는 거 같음)

 

학교를 아니 보낼 수 없었던 것은,

학교를 아니 보내고 아이를 보람있게 재미나게 지낼 수 있도록 해줄 공간이 어디에도 없었기 때문이다.

대안학교는 이미 '여기' 중심의 학교가 있고, '저기'에 존재하는 학교이니 크게 다를 것도 없다.

 

고딩을 졸업하고 바로 이 책을 썼다 하니, 작가가 대단하기도 하고,

그 분노가 이해가기도 한데, 쓰여진 시기가 10년도 전이어서 그간의 변화가 반영되지 못해 아쉽다.

 

1. 학교의 본질

 

학교는 사회 계층화 기구이며, 억압적 통제기구로서 근대국가의 산물이란 그의 의견에 나도 동감이다.

기능론적 학자라고 해도 같은 말을 조금 미화하여 둘러 말할 수 있을 뿐이다.

한국의 학교에서 아름다운 추억을 가진 수업시간, 담임선생님과의 이야기를 가진 학생은 얼마나 될까?

특히 남학교를 다닌 사람들이라면 지긋지긋한 글쓴이의 추억에 침튀기며 공감할 것이다.

'작은 군대'로서의 학교는 해체되었다.

남성 교관들이 물러간 자리에 여교사들이 들어와 군대적 규율은 무의미해졌다.

학교는 마지못해 등교하는 아이들로 가득하다.

산업화 시대의 '화이트 칼라'에 대한 욕구는 이미 무의미하다.

'전문직'을 가지기 위한 몇몇 아이들에게는 졸업장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졸업장 역시 무의미하다.

 

2. 공교육의 신기루

 

이름만 공교육, 내용은 사교육.

공교육은 세금으로, 사교육은 내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공교육은 '공적 인간'을 기르는 것이고, 사교육은 '내 욕심'을 위해서 배우는 것이다.

'시민'을 기르는 것은 '공교육'이고, '기예, 재주'를 기르는 것은 '사교육'이다.

한국 사회의 학교는 개인의 영달을 위한 공부를 가르친다.

서울대, 의대 몇 명 진학을 플래카드로 내건다. 이건 공교육이 아니다.

그렇지만, 어디 갈 데를 찾지 못한 아이들, 보낼 데를 찾지 못한 부모들은,

학교를 제대로 다니면 훌륭한 어른이 될 것이란 착각을 하며 오늘도 아이들을 학교로 몰아 넣는다.

공교육기관에서, 아이들은 패배의 경험, 좌절의 경험을 배우면서 눈치보고 줄 잘서는 훈련을 하게 된다.

<명시적 교육과정>은 아이들에게서 거부당하고,

<암시적 교육과정>은 아이들에게 체계적으로 체화된다.

그래서 수업 시간엔 엎어져 자고,

쉬는 시간엔 학교 폭력이 만연하게 된다.

 

3. 자율교육 시스템은 가능한가?

 

글쓴이는 고교생 달리기에서 최우수 그룹에 들어 서울 법대를 들어갔다.

그래서 세상 아이들이 자기처럼 지적 욕구가 클 것이라고 착각한다.

사실은 세상 사람들은 지적 욕구가 거의 없다.

그래서 '최소 요소'만 반복해서 가르치고, 갈등 조정 과정을 가르치는 곳이 공교육 기관이어야 한다.

다양한 자율적 교육 시스템은 있다면 좋지만, 없어도 어쩔 수 없다.

다만, 학생들이 재미있게 학교 생활을 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을 연구할 필요는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이란 것이 '일률적으로' 제시되어 전혀 창의적이지 못하게 학교에서 돌아간다.

역시 학교의 시스템은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란 시스템을 부정하지 못한다면... 학교를 넘어서, 보다는 학교 안에서... 가 중요하다.

 

4. 학교 안에서...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서...

 

분노를 넘어서 실천으로!란 제목으로 맺음말을 쓰고 있다.

그 분노에는 같이 머리를 주억거리면서도, 실천에 있어서는 내 생각도 있다.

실천은 김예슬 선언~ 그리고 탈 학교~ 로 이뤄질 순 없다.

국가의 가장 중요한 테제로 <학교 살리기>를 정하고,

초중고생의 학업 내용을 과감하게 줄일 필요가 있다.

물론 대학 나와야 먹고 살던 시대를 넘어, 대학 나와도 먹고 살기 힘든 시대를 맞은,

글로벌 호구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공부는 하나의 썩은 동앗줄이기도 하므로, 쉽지 않은 노릇이지만,

사회라는 '상자'가 썩었음을 과감히 인정하고,

사과가 썩는 것을 탓하지 말아야 한다.

사회를 정화하지 않고서는 어떤 방안을 만들어도 학생이란 사과는 썩고 곯게 마련인 것.

학교 안에서 할 일을 하는 일은 그래서 힘겨운 몸짓이다.

정치를 바꾸는 일, 그래서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