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의 미래 - 다음 세대를 위한 민주주의 교과서 노무현 대통령의 진보의 미래
노무현 지음 / 동녘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노무현이 인기를 잃자, 한나라당은 내홍을 앓던 끝에 친이계가 승기를 잡고,

2007년 대선 승리, 2008년 뉴타운 공약에 힘입은 총선 승리를 거머쥐었다.

 

그렇지만, 이명박의 지나친 친미 퍼주기로 08년부터 바로 촛불의 위기를 겪게 되었고,

그 촛불의 배후로 민주주의자 노무현 죽이기를 실행에 옮긴다.

 

2008년 퇴임 이후,

노무현은 경남 진영 봉하마을이란 조그만 공간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걱정하고 있었다.

 

노무현은 물론 실패한 정치인이다.

권력 재창출이 정당 정치의 목적이라면 그렇다는 말이다.

그러나, 노무현이 죽고, 새로운 현상이 생겼다.

대한문 앞에서 시민이 상주가 되어 눈물의 국장을 치렀고,

봉하 마을 순례객은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다시 대선의 시즌이 돌아왔다.

통합민주당은 이제 다시 한명숙, 문성근의 친노가 앞장서고 있고,

통합진보당도 유시민처럼 친노의 적자가 앞에 서 있다.

 

노무현이 현실 정치인으로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부분에 대한 아쉬움도 크지만,

현실 정치에서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고통이 더 크다.

 

그러나, 그는 멀리 보았던 사람이었다.

새로운 민주주의 세상을 위하여, 쉬이 오지 않을 그 날을 위하여,

그는 이런 교과서를 쓰고 있었던 것인데,

정치 검찰과 파렴치한 정권은 그를 파국으로 몰아 넣고 만다.

 

이 책이 감명깊은 것은,

맨 앞에 그가 '아이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부분이다.

한국은 왜 아이를 낳지도, 입양하지도 못하는 나라가 되어 버렸는가?

살기 좋은 나라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 사는 세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글로벌 세상을 <국경은 무너지고 주권은 제약된다>는 입장으로 정리했다.

과연 그러하다.

그렇지만, 문제는 국가 내 불평등조차 극심하다는 데 있다.

법의 위에 선 재벌들과 서민들의 정서는 '서로 다른 에스컬레이터'를 탄 비감을 느끼게 한다.

 

이 책에 나오는 '진보'와 '진보 단체'의 진보는 개념상 혼선이 짙다.

그러나, 진보와 수구, 민주주의와 욕망의 개념을 어디에 두든,

아이들의 행복을 염두에 둔다면,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다.

 

노무현 정부가 부실한 하드웨어 탓에 '렉'이 많이 걸리긴 했지만,

교육 분야에서 'NEIS'라는 행정적 렉이 걸렸다고 해서 교육개혁의 청사진 자체를 펼치지 못한 것은 아쉬움이 크다.

 

노무현이 살아있었다면...

그의 청사진이 조금이라도 더 상세히 그려진 상태에서 다음 대통령이 정책을 수행한다면...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인데...

 

사실 지금 친박쪽이나 통합세력 쪽이나 정권 획득에만 눈이 멀었지, 정권 창출 이후에 대한 그림은 미약하다.

2030년 정도까지는 내다보는 청사진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 일을 하려던 사람이 노무현이었다.

그래, 그렇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도 제거해야할 걸림돌이 맞다.

 

다음 대통령은,

제발 이런 책들을 서가에 꽂아 두고 고민하며 '아이들에게 웃음을 주는 나라'를 만들어 주면 좋겠다.

제발, 김어준처럼 얄궂은 인간들의 '괴담 파일'이나 들으며 다음 선거일을 손꼽아 기다리는 불행한 국민을 양산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정치 따위야 얄궂은 너희들에게 다 맡겨 둘테니,

우린 그냥 아이들 기르며 즐겁게 살기나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다음 대통령은,

제발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감명 깊게(?) 읽지 않으시는 분이라면 정말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