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파란여우 > 번져가며 사는 삶이 아름답다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에서 그는, 시인의 삶을 지탱해주는 맑은 그리고 때로는 고독하고 슬픈 심성의 결을 심리적 상징을 통해 응축된 이미지로 변주해낸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새와 달. 바람. 별. 꽃 등의 사물들은 떠돌고 방황하는 그의 정처 없는 마음의 상징... 그의 마음은 악기와 같아서 그를 둘러싸고 있는 작고 하찮은 것들이 오히려 그의 마음에 닿아 음표가 되고 소리가 되며, 그래서, 그의 시는 부유하는 삶의 노래가 된다.

-살구꽃-
장석남의 시 세계는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과 손끝으로 전해지는 예리한 감성,
그 느낌으로 이어지는 언어의 부드러움이
마치 천진난만했던 내 유년의 시절과 같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어쩌면 너무도 소박하고 평범하여 눈에 띄지 않아 그냥 스쳐보내기 십상이겠다.
하지만 그의 시를 자꾸만 읽어내려 가다보면
너무도 포근하여 그 자리에 눕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도 하고
잔잔한 미소를 머금게 하여 저절로 마음이 평온해 지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살구꽃)은 색깔과 사물의 적절한 배합으로 직유를 들어
독자들로 하여금 옛 향수에 흠뻑 취하게 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작품이다.
마당에 핀 살구꽃이 밤에는 흰 돛단배가 떠 있는 것 같이 표현하는가 하면,
흰빛 또는 분홍의 색깔을 빌어 담 넘어 까지 환하게 비춰주는 가로등 역할까지 맡는다.
또한 겨울이라는 계절을 빌어 앙상한 나뭇가지 모양 자체를
<하늘이 뜯어진 채...>라고 표현한 것은 작가 고유만의 탁월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이것은 <쏟아졌었다>는 과거로부터 <그 하늘을 어쩌지 못하고 지금>이라는
현재로 연결지음으로써 시간적 공간을 상상케 하는 선명한 작업인 것이다.

아울러, 장석남 시인은 모든 사물을 시각에서 머물지 않고
<살림살이의 사연>, <낮은 말소리, 발소리>등 청각적인 감각을 충분히 소화시키고 있다.
그러기에 그는 어떤 언어가 지니고 있는 의미보다는 이미지나 감각에 정열을 쏟아 놓는다.
<어스름녘 말없이 다니러 오는 누이만 같고>에서 유년시절의 기억을 더듬어 보며
애써 이해를 요구하기보다는 차라리 공감과 매혹으로의 유도를 즐기고 있다고 하겠다.
각박한 삶 속에서의 인간적인 결핍과 욕망을 따뜻하면서도 포근하게 감싸안을 줄 알며
때로는 쓸쓸한 외로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적막감을 표현하기도 한다.

-배를 밀며-
배를 민다는 것은 - 무언가를 힘껏 던진다는 것이 아닐까?
인간의 행위를 빌어 자신의 내면까지 드러내 보이고는
손끝 마지막 아슬아슬한 부분까지 모두 떨쳐 버리려는 몸부림일 것이다.
<희번덕이는 잔잔한 가을 바닷물 위에> 배를 밀어 넣는 것이다.
바닥에서 물 위로의 이동 모습은 우리에게 희망을 주며
또 다른 미지의 세계(사랑)로 인도하는 찰나이다.
배를 밀어냄으로써 사랑에 대한 아픔과 슬픔을 잊고자 노력하는 모습,
사랑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몸부림치지만
끝내 또 다른 사랑으로 대변되는 <내 안으로 들어오는 배여>가 색다른 느낌이다.

(배를 밀며)에서 사용되는 은유는 사랑이다.
배는 사랑을 의미하기도 하고, 인생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화자의 삶이며 감당해 내야 할 키 작은 몫일 수도 있는 것이다.
소유와 집착으로부터의 탈출을 (배를 밀어보는 것)이라 생각해도 좋다.
가만히 놓아주는 것으로부터 환희를 느끼고 있다.
그 환희 앞에서 시인은 공허함과 쓸쓸함까지도 사랑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묻게 된다.
갑자기 가슴 한 쪽이 휑하니 바람이 통과하는 것만 같다.

-수묵정원 9 -
(수묵정원 9 - 번짐)은 말 그대로 '널리 퍼져나감'이다.
번짐이라는 형용사를 첫머리에 두고
목련(봄)에서 여름으로 흘러가는 동선을 그린다.
우주의 삼라만상의 근원을 '번짐'에서 찾으려 애쓰고 있으며
바깥의 '너'로 부터 내 안의 진실을 널리 알리려 하고 있다.
온갖 사물들에 대한 생명력을 부여하고 그 순리에 맞춰 호흡하려 한다.

<번져야 살지>는 가난으로부터의 탈출을 의미하고 있다.
단순한 시각적 의미가 아닌 예민한 촉수의 흔들림으로
민첩하고도 감각 있는 표현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
<음악은 번져 그림이 되고 삶은 번져 죽음이 된다>라는 양극화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까?
음악이나 그림은 모두 예술의 상징성이다.
인생 자체가 예술인만큼 듣고, 보고, 만지는 카테고리를 만든다.
반면에 삶이란 죽음을 향해 질주하는 번짐으로 보면 큰 무리는 없을 듯 싶다.

어차피 인생이란 누구나 한번 태어난 후 죽음으로 가는 것은 뻔한 이치다.
그 과정 속에서의 굴곡이나 외로움, 고독, 갈등은 모두 죽음을 위한 향연일 뿐이다.
그러므로 죽음은 또 다시 번져서 새로운 삶으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저녁은 번져 밤이 되고> 그 번짐으로 새벽을 열듯이 돌고 도는 것이 인생이며 사랑이다.
인생도, 사랑도 번져야 그 힘을 갖게 된다.
번지지 않는 것들은 죽어 있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음을 의미한다.

<산기슭의 오두막 한 채>가 번짐으로 해서 <봄 나비 한 마리가> 날아온다고 말한다.
이야말로 '장석남적 풍경' 묘사의 매력이 아닐 수 없다.
회상에 의한 '환함'과 '따스함' 또는 기억의 체험 자체가 서정적인 시간의 체험이다.
단순 명료하며, 소박하고, 너무도 낯익은 일상의 풍경임에도 전혀 지루하지 않음을 느낀다.
세상 모든 것들이 작은 것에서 크게 번지는 '절제된 여백'으로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다.

-사 족-
시인 장석남은 내 고향 출신이다. 나이도 나와 같은 연배이다. 그러므로 그가 처음으로 시집을 내고, 문단의 주목을 받아 1991년 김수영 문학상을 수상하였을 당시에 무슨 해변시인학교 모임에 시작(詩作)활동으로 참가하였던 친구가 그의 친필 서명이 새겨진 시집 한 권을 받아들고 엄청 좋아하던 기억이 떠오른다. 내 친구는 그 당시 장석남을 흠모하며 그의 집 주변을 서성거리곤 했었다. 지금 친구는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고, 학원강사노릇을 하며 먹고산다.

그리고 더 이상 친구는 시를 쓰지 않는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가끔은 맨발로 걷던 원시의 말갛고 투명한 기억을 떠올렸으면 싶은 것이  나 자신이나, 친구에게 바라는 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