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을 바라보다 - 우리가 모르는 고래의 삶
엘린 켈지 지음, 황근하 옮김 / 양철북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고래.
이 단어는 어린아이들의 상상 속을 헤엄칠 때나 등장하는 단어가 아닐까?
아, 또 있다.
간혹 먹게 되는 일식집 메뉴에 얹혀 나오는 고래고기... ㅠㅜ 

나는 고래를 만나기 전에 고래고기를 먹어본 사람이다.
어린 시절, 구멍가게를 하던 우리집에선 잔술도 팔았는데, 어쩌다 뼈다귀감자탕도 하고, 간혹 고래고기도 팔았던 기억이 난다.
내가 5~6살 무렵인데, 다른 기억은 없어도 고래고기의 뻣세면서도 기름진 그 맛은 기억 난다. 
언제 처음 고래의 그림을 만났는지는 정확히 기억할 수 없지만,
아마도 텔레비전의 동물의 세계 정도였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토록 머리가 좋고 스케일이 큰 동물을 얼마나 모르고 있었던가를 발견하는 일은 놀라운 일이었다.
고래의 일생에 대하여 아직도 연구된 바가 그토록 작다는 것에 대해서도 놀랄 수밖에 없었다. 

소설 속의 백경은 사납기 그지없는 고래로 등장하여,
인간이 뛰어넘어야 할 자연의 대상으로 떠오르지만,
실제 바닷속의 고래들은 멸종의 대상이 되어버렸다. 

가까운 나라 일본이 고래를 잡아 먹기 좋아하는 민족이라고도 하지만,
식용 밖의 이유로 고래를 잡아 활용하는 나라도 많았던 모양이다. 

나는 독에게 고래를 보는 비결을 알려달라고 부탁했다.
"시간이죠."
그는 말했다. "결론은 시간이에요. 바다로 나가 있어야 해요. 날씨가 궂으면 보지 못하죠.
밤에도 볼 수 없어요. 대부분의 시간, 고래는 수면 아래에 숨어 있어요.
고래에 대해 아무리 많이 알고 있어도 그게 큰 도움이 되진 않아요." (57)

고래 연구자들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보면,
포경업자들의 뻥으로 둘러싸인 구라를 고려한다면,
고래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신비로운 존재임을 상상해야 한다. 

고래들의 노랫소리는 아직도 연구하지도 못한 영역이다.
오히려 군함, 어선 등의 엔진 소리, 초음파들이 고래들의 평화로운 바닷속 세계를 오염시키는 것이다.   

276쪽의 질소 기포로 인한 잠수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해군 입장에서는 무음 프로펠러를 가진 적군 잠수함에서 우리를 지키기 위해 그런 시스템을 꼭 사용해야 한다.
그러니 어떤 지역에서는 고래들이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방어하지만,
고래들의 눈과 귀, 분기공에서 피가 흘러 나왔다... 는 말을
잠수 중에 신체 조직 내에 축적된 질소가 용해되지 못해 커다란 기포를 형성하게 되고, 이것은 동맥을 막아 가스 색전증을 나타내게 된다...는 알아먹지 못할 소리로 본질을 호도하고 있는 머저리같은 인간이 혐오스럴 뿐이다. 

뿌옇게 앞이 안 보일 정도의 크릴 떼를 수염고래들은 어떻게 찾는 것인지,
그 넓은 바다에서 서로 어떻게 의사 소통을 하는 것인지... 몹시 궁금하지만 아직은 추측만 할 뿐. 

고래들이 의존하는 것도 바로 이 음향환경이죠.
이게 그들의 운명이에요. 그들이 살아가는 방식이지요.
참고로 고래의 뇌에서 음향을 담당하는 부분은 인간의 것보다 열배 더 커요.

인간보다 열 배 더 큰 음향의 뇌 부분.
상상할 수 없는 의사 소통 수단을 지닌 셈이다. 

인간은 그에 비하면,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국립해양수산국의 자연과학 연구분과인
사우스웨스트 수산과학센터의 자원보존부 상임과학자
로버트 브론윌...
같은 이름 따위나 붙이는 하찮은 존재임이 우스워보이기도 한다. 

고래들의 아름다운 삶이 유지되는 데 인간은 이미 충분히, 아니 지나치게 너무 많이 지나쳐왔다.
하지만, 아직 과학자들은 낙관적이기도 하다. 

한편 경이로운 생물들이 아직 많이 생존해 있지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욱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있는 낙관주의입니다.(287) 

끝부분에 실린 고래 이미지들은 전문 사진사가 찍은 작품은 아니지만,
고래에 대한 애정이 담뿍 담긴 사진들이다.
이 사진들만 보는 일로도 이 책은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다. 

 

 

161. 보고된 사망률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 수치는 전혀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는 회복이 것이 원인의 상당 부분 어장에서 오는 간접적 영향 때문임을 암시한다. "  붉은 색 부분은 ... 이 원인의 상당 부분이 어장에서 오는 간접적 영향 때문임을 암시한다. 정도로 가다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