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소설에 눈뜨다 - 고등 국어 교과서 문학 읽기 11
김상욱 엮음 / 상상의힘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부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가 16종으로 바뀌었다. 

학교 교육과정에 대하여 10여 년간 공부하고 있는 나에게는,
지금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상당히 우스운 것이다. 

7차 교육과정이 중학교를 4년, 고등학교를 2년으로 상정하고 단추를 꿴 것은 아주 잘 한 일이었다.
그렇게 중학교를 2배로 늘리고, 고등학교에는 2개 학년만 둔다면,
교과교실제를 하는 것은 식은 죽 먹기이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모든 교실에 멋진 텔레비전이 있고,
교사마다 최신형 노트북이 주어져 있다면,
교과교실제가 교사에게도, 학생에게도 정말 매력적인 수업의 질을 제공할 수 있는 시작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국민공통의 그 기본정신은 쏙 빼먹은 채로,
고등학교는 1학년과2,3학년의 분리만 되고 보니, 이건 뭐, 좀 웃긴 꼴이다.
뉴욕 간 영구랑 비슷한 꼴이랄까? 

고등학교 교과서가 16종으로 바뀌든 160종으로 바뀌든 크게 환영할 바가 아니다.
한국의 교사는 '문학' 전문 교사도 없고, '국어' 전문 교사도 없기 때문이다.
그 사정은 겪어 보는 이들만이 아는 업계의 비밀이다. 

외국은 '문학'을 가르치는 교사는 수십 년 간 그 과목만 죽으라 가르친다.
따로 지도안을 내거나 커리큘럼을 물어볼 필요도 없다.
수십 년 간 진화해온 커리큘럼이 교사의 두뇌 속에 가득 들어찬 것이다.
물론 그들 중에도 똥으로 찬 놈도 있을 거고, 그건 어디나 마찬가지일 거다. 

난 소위 말하는 5차 중학교 교과서를 1,2,3학년 모두 가르쳤고,
6차 교과서도 1,2,3학년 모두 가르쳤다.
그리고 7차 교과서도 1학년 걸 가르치다가 고등학교로 와서,
문학, 작문, 독서, 화법, 문법, 국어, 국어 생활 등 온갖 잡과를 안 가르쳐 본 것이 없다. 
이런 사람에게 전문성을 요구하는 것은 좀 웃긴 일이지. 

그래서 나도 아들에게 쓰는 시문학 특강을 시작한 일인데,
사실은 그런 글쓰기가 교사에게 가장 요구되는 일이라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김상욱 선생의 이 책은 나의 문학 교실과 가장 유사한 글쓰기이다.
문학의 요소들을 녹여서 설명하되, 고딩의 수준에 알맞게 풀어 쓰려 온갖 노력을 다 하신 것인데...
내가 조금 아는 그이의 교직 경력은... 중학교에서 예전에 가르친 것이라,
고딩들 수준에 좀 어려운 듯 싶기도 하다. 

고딩들은 인터넷 언어에 익숙한 만큼,
긴 문장에 낯설어한다. 

그러나, 이 책은 정말 학생들이 꼭 읽기를 권하고 싶은 작품들을 중심으로,
수능에서 평가하고 싶은 요소들을 화제로 삼아 작품을 해설하고 있다. 

간혹 전문 해설꾼의 목소리가 튀어나오기도 하지만,
선생의 어눌하면서도 느릿한 말투와
경상도 특유의 고집스런 어투를 고려한다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소설 공부책으로 이만한 책도 드물 것이다. 

공부를 눈앞에 둔 책들이 지나치게 '내적 접근법'에 치중하였거나,
외적 접근이랬자, 작가 측면이나 독자에게 수용되는 이론 중심으로 서술하기 쉬운데,
역시 선생이 살아온 연대는 '시대 현실'의 반영에 눈감을 수 없는 시대였으므로,
<시대 현실>을 읽어주는 눈도 매섭다. 

물론, 그런 점에서 학생들은 낯설어할 수도 있으나, 충분히 녹여낸 힘이 돋보인다. 

아이들이 공부도 잘 했으면 좋겠고,
훌륭한 인품도 가졌으면 좋겠고,
역사적으로도 올바른 소양을 가졌으면 좋겠고...
욕심꾸러기 386 부모들이 자식들에게 권해주기 좋은 책이다. 

 다만, 그 자식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글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