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건 부두로 가는 길 - 조지 오웰 르포르타주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어나가는 순서를 잘못 잡았다. 

처음에, 이 책을 읽는 안내자로서 '옮긴이의 말'을 읽어두는 것이 도움이 되겠고,
그리고, 2부의 오웰의 '사회주의에 대한 생각'을 읽는 것이 낫겠고,
1부의 위건 부두 르포는 나중에 읽었어도 될 그런 것이었다. 

물론, 이 책이 엮인 동기가 1부였기 때문에 가장 중심부이긴 하지만,
80년 전의 영국의 부두노동자나 탄광 노동자의 삶이 현재의 제3세계 노동자들의 삶과 대비하여 본다면, 특별하게 비참한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새로울 것이 없다.  

사회주의가 러시아에서 혁명의 불길을 일으킨 지 20년 되었던 1930년대에도 이미 독재의 흐름이 감지되었고,
많은 지식인들이 사회주의에 대하여 불쾌한 감정을 감추지 않던 시기이기도 했단다. 

오웰은 '모든 억압에 반대하는 사람'을 사회주의자로 보고 있다.
그리고 '모든 피압제자는 언제나 옳으며, 모든 압제자는 그르다'는 단순한 말이 진리임은 이미 증명이 되었다.
그렇지만 사회주의의 깃발을 들었던 자들의 면면에서 존경받지 못할 구석들이 있었고, 문화적 비중을 높이치던 유럽의 지식인 사회에서 사회주의란 생경한 문화파탄자들 내지는 저질문화 옹호자들이 소외당하던 시기,
조지 오웰은 사회주의의 파탄을 예기하면서 동물농장과 1984로 이어지게 된다.  

무의미하게 정체되어 썩어들어간다는 느낌, 사람들이 지하에 갇혀 바퀴벌레처럼 같은 자리를 빙글빙글 기어다니며 비열한 불평불만만 늘어놓고 있다는 느낌(26)을 이야기하는 부분은 '싸구려 커피'를 노래부르는 21세기 한국의 88만원 세대나 별 다를 바 없어 보인다. 

사람들은 빈궁한 생활을 하고는 있지만 가족 제도가 깨진 건 아니다.
사람들은 이전보다 긴축 재정을 하여, 생활 수준을 낮추면서 견딜 만한 것으로 만든 것(119)으로 바라본다.
21세기의 한국 사회보다 낫다면 낫다. 한국 사회는 빈궁하지 않으면서도 가족 제도가 깨어지고 있으므로...
긴축 재정을 하는 것보다 견디기 힘든 생활을 인정하고 자식을 낳지 않는 어두운 사회. 

옛날을 바라보는 시선은 미래를 바라보기 두렵게 만든다. 

사회주의는 반대하지 않지만, 사회주의자는 반대한다.(232)
많이 들어본 말이다.
개혁의 깃발을 든 이의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그 깃발을 든 자들의 인품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다는 이런 것이 모든 운동의 한계다.
어떤 조직이든 그 조직의 일선에 나서는 이들의 많은 활동가들이 인격적으로 존경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불평분자일 뿐인 활동가와 전심전력을 다하는 사상가 간에 분간이 가지 않아 운동의 핵심에 분열을 일으켜 왔다는 점은 80년 전에 쓴 오웰의 글이나 최근 사회운동과 진보를 논하는 글이나 다른 점보다 유사한 점이 많아 보인다. 

사회주의 문학은 따분하고 시시하고 조야하다... 이런 느낌으로 어떻게 혁명이 성공하겠는가.
그렇지만, 새로운 것을 시작할 때 처음부터 고상한 것들을 모두 갖출 수는 없는 법이다. 
'클래식' 이란 말이 원래 '전쟁이 나면 배 한 척 정도 희사할 수 있는 계층'이란 말에서 나온 것이라 하니,
가진 자들의 취향에 부합하는 것이 클래식이고 고전이고, 우아한 것이니 말이다. 

조지 오웰의 이 책을 만나면,
반드시 마지막에 덧붙인 옮긴이의 말부터 한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리고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면,
'2부, 민주적 사회주의와 그 적들'부터 읽으라고 권해주고 싶다. 

이 책은, 사회가 어떻게든 바뀌어야  할텐데... 하고 고민하면서도,
민주당 저것들은 참 한심해 죽겠고, 민노당이나 진보신당 저것들도 뭔가 수준미달이라 고민하고 있을 많은 사람들에게 읽기를 권하고 싶다. 

김규항의 'B급 좌파'의 시선보다도 더욱 형형한 눈으로 바라보는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의식이 이 책에 가득하니 말이다.
김규항도 '잡문 모음' 말고, 제대로 된 책을 한 권 더 내주기 바란다. 예수전에 버금가는 멋진 책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