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에서 춤추다 - 서울-베를린, 언어의 집을 부수고 떠난 유랑자들
서경식 & 타와다 요오꼬 지음. 서은혜 옮김 / 창비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나서도, 제목에 대하여 딱떨어지는 느낌이 생기지 않을 때,
번역서일 경우엔 원제목을 찾아보게 된다. 

이 책의 원제는 Soulu-Berurin tamatuki syokan 우리말로 옮기자면 서울-베를린 당구 편지, 정도. 
당구 이야기가 읽다 보면 나오니깐, 주거니 받거니 한 편지를 '타마츠키 쇼칸'으로 표현한 것도 재미있는 표현이겠다.
한국어 표현이라면 핑퐁 편지 정도 되겠다. 

한국어 번역본의 제목은 멋지긴 한데, 내용과 딱맞아 떨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서경식과 타와다 요오꼬가 집, 이름, 여행, 놀이, 빛, 목소리, 번역, 순교, 고향, 동물 등의 주제로 자유롭게 이야기를 주고받는 형식의 왕복 서한을 모은 것이다.
서경식이 먼저 쓴 경우도 있고, 타와다 요오꼬가 먼저 쓴 것도 있는데, 자유롭게 주제를 펼치는 것으로 보아, 프리모 레비의 <주기율표>처럼 자유로운 형식을 염두에 두었던 것 같기도 하다. 

세상을 산다는 것은, 자신을 어떤 경계 안에 가두는 일의 다른 말이기도 하다.
인생,
경계지음,
이런 전혀 달라보이는 두 어휘가 서로 패러프레이즈를 이루는 또다른 의미 구조를 갖게 되기도 한다.
두 사람은 그런 면을 이야기하면서,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그 경계지음의 불가피함과 경계지음에 대한 경계함을 자유롭게 풀어내기도 한다. 

우리의 이름만 해도, 한국식 이름이 가지는 독특함을 느낄 수 있다.
집에 대하여 <역사를 조망하는 전망대> 역할을 한다고 정리하면서,
이름은 적어도 디아스포라에게 있어서는 '역사가 할퀴어놓은 상처'같은 것이 된다고 한다.(56)
디아스포라에게 상처 아닌 것이 무엇 있으랴마는... 

도시에서 살아온 나에게도 고향이란 것은 없지만,
아버지가 태어나 살아온 시골, 지금은 충주댐 시퍼런 호수 수면 아래로 잠기어간 그 집이 나도 가끔 그립다.
큰길에서 가파른 비탈길 올라,
자그마한 샘터를 지나고,
한 십여 미터 올라가면, 손바닥만 하던 마당 위에 우뚝 솟은 담배 건조장과 초가 삼간으로 놓였던 그 집.
할아버지 환갑을 하고, 사촌 형 결혼식을 하던 그 청국장 삭는 내 담뿍 배인 옛날 집.
그 시골집에서 내려다보이던 한강물이 이젠 집을 삼켜버리고 말았지만, 왠지 삼십 년 전 그 집터가 강물 아래로 유지되어 있을 것만 같은 생각이 간혹 든다. 

이렇게 서울의 임시 거처에서 일년 반이나 살다보면 때로는 무심결에 '슬슬 돌아가야지' 하는 기분이 솟아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찬찬히 생각해 보아도 어디로 돌아가고 싶은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결국 돌아가고 싶은 곳, 돌아가야 할 장소 따위는 없다는 결론에 언제나처럼 이르게 됩니다. (204) 

이런 생각이 이 편지글들의 중심 주제를 꿰뚫는다. 
모든 것들은 닫힌 범주 안에서 정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 경계에서는 끊임없이 활발한 경계허물기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그런 생각.
프리모 레비가 <주기율표>의 '비활성 기체, 아르곤'에서 다룬 것처럼, 아르곤은 귀한 기체로 여겨지지만,
사실은 귀하지 않으며, '움직임 없는 것'으로 이름붙여졌지만, 존재한다는 것.
그것이 <경계>의 의미일 것이다. 

우리는 이 왕복서한에서 정치적 경계로서의 국경뿐 아니라 문화나 언어의 경계 등 갖가지 경계들에 대해 ... 이야기를 나눈 것이라고 적고 있다. (233)
서경식은 사고방식이나 이야기 진행 방식이 세로 방향, 그것도 위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아래로 구멍을 파는(천착하는) 경향이 있지만,
타와다 요오코는 그것을 가로방향으로 열어간다. '모으기'에 응하는 '흩어놓기'라고나 할까.
세로 대 가로, 모으기 대 흩어놓기라고 하는 어긋남 같은 것이 이 책이라고 서경식은 맺는 글에서 정리하고 있다. (238)

서경식의 비유는 신선하면서 그럴듯하다.
서경식 글을 읽는 맛은 이런 것이다. 미술 작품에서, 프리모 레비로, 두 형 이야기와 자이니치 이야기로 넘나드는 속에서 읽히는 진한 상념의 맛, 그 페이소스를 서경식의 글에서 늘 바라는 것이고, 그의 글에서는 어김없이 그 진한 에스프레소의 느낌을 혀끝과 온몸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 책을 번역한 이가 지나치게 직역에 가깝게 번역을 해 놓아서 나처럼 일본어에 좀 익숙한 사람이라면 그런 느낌도 나쁘지 않지만, 일본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면 좀 낯선 번역이 아닐까 싶은 구석이 많은 점이 좀 아쉽다. 

예를 든다면,
~인지도 몰라 하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같은 경우, 한국어라면 ~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정도가 부드럽다.(27)
자기 작품을 집이라고 느끼는 작가도 있는 모양이고, 저도 그렇게 느끼는 일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 되겠지만, 그래도 완성되면 나가야만 하는 것이니 자신의 책이라는 것은 그다지 편안한 집은 아니죠... 이런 구절은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인지는 이해가 가지만, 온전한 번역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대학생 정도가 과제로 일본어 문장을 거칠게 옮겨 놓은 것 같은 느낌이랄까.

102쪽. 人在リヌ를 사람 있었네...로 번역해 놓았다. 물론 문맥으로야 사고가 나서 '머리가 깨지고, 한쪽 다리 잘린, 사람 있었다'...는 의미로 읽을 수도 있지만, 올바른 번역은 '사람은 없고'... 정도가 아닐까 싶다. ヌ의 의미가 부정이니깐...
그리고 앞의 두 구절은 '두개골 후두부 깨지고, 한다리 잘려' 이렇게 피해상을 묘사한 것이고,
마지막 구절에서 시인의 감상을 표현한 것이니,  
<기차와 부딪힌 그 사람은 사람몸뚱이 같지 않아보였다>는 의미로 '사람은 없고...' 정도가 더 알맞은 표현이 아닌가 싶다.
전공자가 아니니 이 정도만 의심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