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다 난다 신난다 - 제7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동심원 3
이병승 외 지음, 권태향 그림 / 푸른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옛날 동시들은,
어른들이 어른들의 눈으로 본 것을,
아이들 말 비슷하게 꾸며놓은 것들이었다.
그래서 아이들 입말과 아이들 생각과는 생뚱맞은 것들을 동시라고 한다고
고 이오덕 선생님은 마구 꾸짖으셨다. 

요즘 동시들을 읽으면,
아이들이 쓴 시처럼
아이들의 마음이 들어 있다.
그리고 아이들의 순진한 모습을 그대로 스냅사진에 담은 것처럼 느껴지는 글들도 많다. 

이병승의 시는... 글쎄, 아직 좀 어른이 쓴 티가 난다.
지구가 아픈 모습을 쓴 시나, 신주머니를 놓고 와서도 헤헤...하는 거나... 

김미희의 정전, 수두, 손자국 등은 아이들의 마음이 잘 묻어난 작품이다. 

정전되니 엄마가 걱정이다.
아이가 생각한다.  
'엄마가 지난번 아빠랑 싸우고 집 나갔을 때 우리도 그랬어.' 

어른의 마음이나 아이의 마음이나 뭐 다른 게 있겠냐마는,
아이들이 이쁜 것을 더 좋아하는 것 같다.
아이들은 좀 빨리 슬퍼하고, 그리고 싸워도 금세 잊는 것 같다.
화해할 것도 없이 아이들은 그냥 노니까... 

박승우의 쏙, 할머니 사진 같은 글은 재미있다. 

동시에 아이들의 마음이 가득 담긴 글들을 읽고 나면,
아무리 더럽다 욕하던 세상이라도 한 뼘쯤은 밝아진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