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메르란 작가에 대해 전혀 몰랐던 것은 내 무지의 소치만은 아니리라. 이런 작가들에 대해 조금씩 알게 되는 것이 후진국 국민을 벗어나는 것 같아 다소간 즐거운 기분이다.

해야 할 일을 산더미같이 쌓아 두고서 책 읽는 스릴은 남다르다. 그럴 때는 보통 책을 빨리 읽게 된다. 그런데 나는 그리트와 빨리 헤어지고 싶지 않았다.

그리트의 하녀로서의 삶은 내 군대생활을 떠올리게 했다. 남의 아랫사람이 되어 아는 일이 거의 없는 공간에서 마음 졸이며 사는 피곤하기 짝이 없는 타인의 삶의 시간들. 그래서 그리트가 맘에 들었고, 그리트 편이 된 것이다.

그림으로 재구해 낸 역사. 픽션. 재미있는 설정이었고, 그림에 대해 화룡점정의 순간이 갖는 법열을 보여주는 읽어주는 그림책이다. 그림 읽어주는 많은 큐레이터들이 있지만, 역시 설명에는 설명문보다 문학적인 손맛이 느껴져야 맛깔스럽다.

난 시를 가르치다가 아이들이 낯설어하면 직접 소설을 쓴다. 콩트라고 해야겠지만... 그 이야기를 읽어주면, 아이들은 간혹 정말인 줄 믿는다. 시의 낯설게 하기가 형상화를 통해 구체성을 띠게 되면 더 잘 보이게 된다고 믿는다.

내가 콩트를 쓰면서, 아이들에게 읽어주면서 아이들 눈에서 읽어내는 재미를 이 책에서 발견하게 된다. 예술이란 상상의 날개를 펴도록 이끌어 주는 메리포핀스가 드나드는 입구와도 같은 거니깐.

왜 터번을 둘렀으며, 입을 살짝 벌렸으며, 반짝이는 귀고리의 윤기가 포인트가 되었는지를 픽션으로 재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술 이해의 방법일 수 있음을 만나게 되어 반가운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