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이 되고 싶은 화가 장승업 - 한국편 3 그림으로 만난 세계의 미술가들 한국편 3
조정육 지음 / 미래엔아이세움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당당하게 머리를 내젓는 말, 화려한 장닭의 모습, 금방이라도 날아오를 것 같은 매, 천연덕스럽게 기지개를 켜는 고양이, 경치좋고 인습 좋은 산과 마을, 흰 도포를 느긋이 두르고 우리를 마주 보고 있는 신선... 이런 그림들이 때로는 여유롭게, 때로는 다정다감하게, 그리고 주로 곧은 선비 정신으로 다가오는 장승업의 그림들을 자상하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조선의 화인을 셋 꼽으라면, 단원, 혜원, 오원을 3원이라고 들은 기억이 난다. 그 중,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뛰어난 화풍과 차이점에 대해서는 누차 들어왔지만, 조선 후기 신선같은 술꾼 오원 장승업의 이야기는 최근 취화선이란 영화로 세인의 눈길을 끌게 되었다. 단원만 화인이냐? 나도 원이다.(吾園)는 씁쓸한 자부심을 가졌던 사내 장승업. 그의 그림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어딘지 모르게 중국풍의 얼굴을 하고 있다. 퉁퉁하고 광대뼈가 두드러진 느끼한 탕수육같은 얼굴.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작품은 바로 '매'다. 김수영이 선비정신을 '폭포'이 곧은 소리에 비유했듯이, 장승업은 썩어 문드러진 세상을 살아갈 마음의 먹줄로 매를 그린다. 날카로운 터치와 먹의 농담만으로 그려낸 무채의 세계는 너무 난잡해서 인생의 진실되고 질박함을 잃고 사는 우리의 퇴폐한 영혼에게 일체의 나타와 답보를 차버리라는 무언의 '할'을 내지르는 듯 하다. 매의 눈은 달마대사처럼 아래로 쳐졌지만, 긴장을 잃지 않는 발목의 팽팽함과 깃털의 정갈한 표현은 '명마를 기르는 행복'의 말주인이 짓는듯한 흐밋한 눈빛으로 살아가는 내 정수리를 친다.

책읽은 즐거움과 그림보는 여유와 옛사람을 만나 이야기 듣는 시공으로부터의 자유를 누리는 자, 나는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