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지막 왕자 - 책 읽는 가족 2 ㅣ 책읽는 가족 2
강숙인 지음, 한병호 그림 / 푸른책들 / 199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경주를 사랑한다. 제일 좋아하는 놀이는 경주에서 자전거를 타는 놀이다. 그러다 보면 '유아독존'이 된 느낌이다. 경주의 평야를 즐기고, 경주의 옛 황룡사터와 논 한 가운데 멋적게 선 탑을 보면서 타는 자전거의 맛이란, 여느 자전거 여행에 비길 수 없다.
신라라는 나라는 '역사'로서 보다는 '전설' 속에 생생하게 살아있는 나라다. 그것은 그만치 신라의 역사는 잊혀진 것이란 이야기겠다. 패배한 나라의 역사는 그만큼 추악하게 덧칠되는 것이다. 박혁거세가 알에서 나왔다느니, 이차돈이 순교하면서 우윳빛 피가 하늘로 솟구쳤다느니, 우리가 아는 신라의 단편들은 '설화 속 세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오히려 견훤이 쳐들어 왔을 때 신라 임금은 포석정에서 술판을 벌이고 있었다는 추악한 모멸의 역사는 누가 유포 시켰든 간에 신라는 고개숙인 나라로 만들 뿐이다.
강숙인 선생님은 이 묻혀있는 신라 이야기를, 거기서도 산정무한(정비석)에 나오는 마의 태자 이야기를 어린이 역사 소설로 잘 써 주셨다. 주류가 아닌 세계도 주류와 마찬가지로 중요함을 역설하는 소설이라 하겠다.
어린이들의 전기집에는 원효, 김유신 정도의 신라 사람을 꼽는다. 그러나 신라의 본질 - 외세와 야합하여 동족을 죽이고 패권을 잡은, 그래서 결국 당나라에 고구려 땅을 다 빼앗기는 신라-를 그 아픈 역사를 기억해 주는 역사책은 없다. 고작 일연 스님의 삼국 유사의 설화들 속에서 깨어진 수막새 모냥으로 신라의 조각은 흐릿하게 남아 있다.
호젓한 임해전지와 안압지, 월궁터의 첨성대와 석빙고 주변의 쓸쓸함이 보문단지의 화려함에 주도권을 뺏긴지 오래된 고도, 경주를 역사 소설 속에서 오롯이 살려준 고마운 이야기 책이다. 삼국유사 속의 이야기와 향가들이 잘 녹아들어 있어 아이들(고학년)에게 꼭 권할 만한 책이다. 어른들도 삼국유사를 한 번 읽어 보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