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답은... 책을 직접 읽어 보세요. 다 읽고 나면 알게 된답니다. 말미에서 주인공이 '근엄하게' 남긴 명언이니까요. 비극적 상황을 넉넉하게 살아가는 희극적 발언의 극치!!!

오랜만에 픽션다운 픽션을 한 편 읽었다. 문학의 서사 장르는 삶의 진실한 모습을 전하는 이야기 형식이란 특징을 갖지만, 언제나 일정정도의 허구를 담기 마련이고, 결국은 사회의 구조적 총체적 모순에서 연유하는 인간사의 문제들로 귀결되기 때문에 한동안 문학을 특히 소설을 의도적으로 멀리 해 왔다.

우연히 읽기 시작한 이 이야기는 상당한 아이러니를 담은 중국 소설이다.우선 그의 고난의 삶의 축에는 허옥란이란 아내와 일락, 이락, 삼락이란 아들들이 있다. 모두 좋은 이름들이다. 옥과 난초는 보배로운 것들이고, 자식은 즐거움(樂)을 주는 존재들이가. 그러나 그의 '매혈'이란 고난은 모두 이 가족들을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의 현대사와 적절히 짜인 비극과 아이러니의 소설로 탄생한다. 비극이 슬프기만 하면 좌절하게 되지만, 오히려 해학적 인물 허삼관의 언동은 우리를 생동하게 만든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우선 이범선의 <오발탄>이 떠올랐다. 혼란스런 해방 정국에서 월남한 가족의 가장인 철호가 치매에 걸린 노모, 산고로 죽는 아내, 양심을 어기고 잘 살아 보려다 경찰서 신세를 진 동생 영호, 양공주 여동생 명숙의 환경에 둘러싸여 결국 이를 두 개 뽑고 택시에서 쓰러진 우리 시대의 오발탄 이야기.

그러나 허삼관은 철호보다 어느 정도 낫다. 해피 엔딩으로 옥란이 맘껏 먹고 싶은 것을 사 주면서 더 이상 매혈이 불가능한 정도로 늙은 허삼관을 위로해 주고 있지 않은가. 이것은 물질적 행복보다는 정신적 행복의 가치를 역설하는 박재삼의 '흥부부부상'이란 시와도 일맥 상통하는 긍정적 가치의 발현이다. 오발탄에는 긍정적 미래는 어디에도 없이 표류하는 철호가 쓰러질 뿐...

허삼관의 둘째 이락이가 일락이를 감싸안고 돌아오는 대목은 <화수분>의 눈 내리는 고갯마루에서 아기를 감싸안고 얼어 죽은 부부를 상상케 하고, 연속되는 매혈에도 우스갯소리를 떠벌이는 허삼관은 해학의 절창 <흥부>의 매품파는 모습과도 흡사하다. '문화 대혁명기'의 비판적 분위기를 제외하고는 사람 사는 세상 어느 곳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인간의 모습이리라. 가난한 어느 곳에서나 겪을 수 있는 인간의 고난.

그러나 이 책을 다 읽고 나서도 계속 남는 질문은, 그 모진 고난 속에서도 왜 유독 우리 민족은 악착같은 속성을 갖게 되었나 하는 것이다. 중국처럼 대범하게 허허롭지 못하고... 그들은 분명히 우리와 다르지만 우리보다 지혜롭게 대처하는 무언가를 핏줄 속에 유전자 속에 품고 있었다. 우리 유전자 속에 각인된 우리 사회의 척박함을 어떻게 하면 개량할 수 있단 말인가. 이 화두로 더운 여름을 식혀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