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랑이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 '명랑'의 코드로 읽은 한국 사회 스케치
우석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공회전하는 국가(172)는 지금의 현실이 아니다.
우석훈이 서해대교에서 일어난 사고를 보고 한 말이다.
어떤 상황을 두고 한 말이든, 지금 이 나라를 진단하기에도 옳은 말이 아닐까?
느리게 사는 삶을 화두로 열린 21세기에 아직도 우리 국민들은 아니 '나'는 너무 조급하다.
64일이나 촛불을 든 끈기와 열기에도 불구하고, 아직 너무 조급하다.

요즘의 시국을 보고 있노라면, '배가 산으로' 가는 운하를 파는 대통령이 망조를 보여주고 있는(230) 형국이다.

이 책을 별로 명랑하지 않다. 맹랑하다고나 할까.
노무현 시대의 일들을 한겨레, 경향 등에서 시사평론 식으로 적은 글들을 모은 책이다. 어찌 명랑할 수 있겠는가.
유럽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온 우석훈이 한미 FTA 지점에서 88만원 세대들과 어깨를 걸었다.
그는 요즘 광화문과 시청광장에서 사는 모양이다.
그가 추구하던 <명랑>한 집회를 만났으니 그야말로 '물만난 고기'가 아닐까?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시위대를 죽이려는 물 殺水'에 맞서서 '온수,온수'를 외칠 수 있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정말 명랑하지 아니한가?
이 명랑에 가장 어울리던 사람이 진중권과 이명선 리포터다. 이명선 리포터는 전에 침묵하던 민주당이 막판에 잠시 나왔을 때 막 항의를 했는데... 진중권도 노빠를 마구 깠던 걸 생각하면, 그게 '명랑'의 힘이라 생각한다.

에너지 부족의 시대에 덩치큰 자동차조차도 '오토'인 나라. 이것을 수동으로 바꾸라는 이야기(202)는 충분히 이유있지만, 습관을 이기진 못할 것 같다. 유럽에선 핸디캡드... 장애인용이 오토매틱이라는데... 다행히, 돈없는 나는 수동을 고집하고 있지만... 역시 두다리나 자전거엔 못미친다.

토호적 부자, 미국 유학, 지나친 양극화... 이렇게 가는 경제를 그는 <남미>와 대조시킨다.(226) 강자 아니면 다 죽었다! 지롤같은 사회다. - 이걸 쥐색긔가 '선진화, 사유화, 교육에선 수월성 추구'라고 말한다. 강자 아니면 다 죽었다 - 고소영, 강부자 아니면 죽으라고 하니, 촛불들은 죽으라고 싸울 수밖에 없다.

사서들이 민주화를 만들었다.(240)는 에코를 인용하면서 2,3억이 없는 도서관을 한탄하는 대목은 눈물겹다. 청년들이 한 페이지짜리 페이퍼를 만들면서, 백페이지짜리 책을 써내지 못하는 모습을 비평하는 모습과 오버랩되면서... 나라의 '밑바탕'을 그는 아쉬워한다. 이 촛불들도 밑바탕에서 <학습>이 없음이 아쉽다. 87년 6월의 밑바탕엔 <학습>이 있었긴 했지만, 그 학습도 386의 보수화 앞에서, 돈과 모순 앞에서 무기력하기도 했다.

명랑해 지려면, 학습과 실천이 늘 함께해야 한다는 것.

꿈의 2만불 시대, 괴리도 미리도 없이 마자셔 우니노라. 아으 동동다리... 유럽 유학갔다 온 그가 고전을 인용한 것은 가상하나... ㅠㅜ 괴리도 괴리도... 이런 것도 어설프고, 청산별곡에 붙인 동동의 후렴도 어색하다. 명랑하니, 뭐, 웃자. ㅎㅎ

5262 676 5266(264)

이 세 숫자는 지금 앞으로 달려나가는 대한민국의 자화상을 보여준다.
지난 25년간 5,262개의 학교가 사라졌고, 앞으로 3년간 676개의 학교를 교육부가 없애려 한다.
그러면 교사 5,266명을 줄일 수 있단다. 헐~

돈 벌어서 뭐 하려고... 삽질하고, 아파트 지으려 하는 모양이다.

지금 오세훈과 이명박이 당선된 것은... 서울 땅값 올려서 부자 말들어 줄 것으로 착각한 사람들이 실수한 것이고, 박정희 시대의 경제 개발에 대한 향수 덕택이다. 그러나 이제 그 꿈과 착각과 향수는 모두 깨졌다.

명랑한 희망은 오로지 촛불밖에 없다.
그런데... 쪽수도 없는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눈을 감으면 보인다, 명랑' 뒤에 촛불을 든 사람의 형상이 그려져 있는 것은 일종의 '선견지명'이었고, '마지막 희망'이 될는지도 모르겠다. 오늘도 그는 청계로든 종로든 촛불을 들고 길 위로 나서리라... 나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