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4 - 세종.문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4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낼모레면 한글날.

세종은 정말 성군이었을까? 한글은 도대체 어떻게 만들게 된 것일까?
그가 많은 인물들과 일을 했는데, 황희, 장영실, 정인지 등의 인재들과는 어떤 관계였을까?

궁금증을 해소할 순 없겠지만, 만만한 만화로 된 조선 왕조 실록을 뒤적여 본다.
한겨레 그림판을 그렸던 박시백이라면 세종 만세 투로 그리진 않았을 것이라 믿고...

역시 세종도 인간으로서 한계가 많은 인물이었다.
어쩌다 보니 초딩용 국어 교과서에 그는 한없이 성군으로 그려져 있었을 따름이겠지.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이야기는 실록에도 뜬금없이 튀어나온다.
집현전 학자들과 만들었단 이야기는 초딩 국어책에 나오던 이야기일 뿐.

세종은 임금으로써 국가의 독립을 생각한 사람도 아니었고, 철저한 사대주의자일 뿐이었다.
두 형들이 거절한 임금 자리를 차지한 세종의 화폐 유통에 대한 집념 같은 것도 앞뒤를 가리지 않고서는 어떻다 말하기 어렵지만...

실록이란 기록 체제가 갖는 한계는 어디까지나 왕조 국가의 한계와 비례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실시간 역사 기록을 가진 역사가 어디 있을까.
왕조 실록을 무시한 야사 위주의 드라마와 동화책 편찬이 세종을 지나친 성군으로 몰아간 탓도 크다.

이 책을 읽으면서 명군의 자질을 가진 문종이 단명하는 대목도 아쉽다.
태종을 상왕으로 모신 상황에서 태종의 장인뿐 아니라 세종의 장인, 제 자식의 장인이니 사돈아닌가. 심온까지 죽여버리는 무자비한 정치판에서 세종은 과연 어떤 처신을 했을 것인지... 그가 공부로 도망가고 싶어한 것도 일리는 있으리라.

조선 초기의 피비린내 가득한 역사 상황이 세종 실록 안에까지 가득하다.
오죽하면 세종이 태종 실록을 '임금은 보아서는 안 된다'는 규율을 어기면서까지 보고자 했을까. 그것도 두 번이나... 모두 거절당하고 말았지만, 아마 보았다면, 역사 고쳐쓰기가 진행되지 않았을는지...

용비어천가를 세종 말년에 지었다. 훈민 정음으로 가장 먼저 쓴 책이 이 책이다.
용비어천가는 태종, 태조, 그 할아버지들의 업적을 뻥튀기 한 책이다.
각하의 애비와 애비까지 만만세하던 그런 황당무지개로 가득한 책이다.
훈민 정음을 만든 목적은 조선 개국의 정당하지 못함을, 그 피비린내의 역사를 덮어버리기 위한 것일 듯 싶다.

이 책에서 재미있는 점은, 세종이 사민 정책 등으로 인심을 잃은, 그야말로 성군만은 아니었다는 점과 함께, 명재상으로 알려진 황희 정승이 여러 추잡한 비리에 연루되었던 이였단 이야기와, 동화나 만화에 세종께서 그토록 사랑했다고 그려진 장영실도 가마가 부러지는 통에 바로 모가지 되었다는 비정한 역사적 사실이었다.

요 책, 처음부터 읽어보고싶은 욕심이 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7-10-07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완소 실록이죠. 세종편 감동이었어요. ^^

글샘 2007-10-07 21:54   좋아요 0 | URL
저는 세종이 궁금해서 이걸 먼저 읽었는데요...
처음부터 읽어야겠습니다. ^^ 완소 실록 맞아요.

순오기 2007-10-07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10권 선조실록부터 9권 인종.명종실록 거꾸로 구입했는데...건너 뛰고 세종실록으로 갑니다! 저, 눈이 작아서 이 작은 눈에 들어오면 바로 질러버린다는...

글샘 2007-10-07 21:54   좋아요 0 | URL
눈이 작아서 ㅋㅋ 저도 눈이 작은데요...
내일 열심히 읽을까 합니다. 학교 도서관에 잘 사뒀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