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 3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휴머니스트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권은 정말 재미있었다.
똥통에 빠져 죽은 아버지와 여자의 동글과 아름다운 엉덩이를 감상하다 들킨 아들의 이야기에서부터, 동네 제일의 미녀 임홍의 촌스런 이야기들과 문화 혁명기의 광풍이 코믹 스토리에 엮여 쌉싸롬한 고들빼기를 맛보는 느낌이었다. 그 쌉싸롬한 향 속에서 느껴지는 정서는 역사 속에 살아있는 인간의 체취를 진하게 경험하게 한다.

2,3권에서 본격적으로 중국의 개혁, 개방이 풍자된다.

며칠 전, 한국의 고등학생들이 중국에 수학여행을 가서 마사지 업소에 들락거렸다는 방송이 나온 적이 있었다. 중국의 개방은 돈에 활짝 열린 개방이면서, 돈에 미친 개방이 된 모양이다.

순수한 사회주의의 아름다운 이상은 어디로 날아가고, 관료들만 배불리는 사회가 되어버린 현실 공산주의 국가들이 저지르는 개혁과 개방의 꼬락서니는 해방후 남한에서 친일파들이 벌이던 짓거리나 크게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관료주의에 물든 중국을 이광두의 병신 공장 공장장 장면으로 풍자하고,
섹스신에 물든 중국의 영혼을 처녀미인선발대회로 비꼬며,
돈이라면 어떤 사기든 다 치게 된 순박했던 정신들을 주유와 송강을 들어 희화화한다.

송강의 죽음은 중국인뿐 아니라, 모든 물신을 숭배하는 인간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준다.

구차하게 돈을 벌기 위해 자기의 육신과 영혼을 다 팔아버린 한 인간이 기댈 곳이라곤, 어머니 대지였지만, 그 위를 지나간 것은 문명의 철마였다.
온 세상을 연결하는 철길은 온 세상에 페스트보다 지독한 물신의 악마가 휩쓰는 죽음의 메타포가 되어버린 느낌.

임홍의 변질은 이미 예기된 것인지 모르지만, 수천만 달러를 들여 우주 여행을 하겠다는 황당한 꿈을 꿀 정도의 갑부와 한 끼 식사를 해결하지 못해 남의 도시락을 기웃거리는 숱한 사람들 사이의 간극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지만, 이것은 꼭 그 나라만의 상징도 아닌 듯 하다.

미국이란 잘 사는 나라에서 온갖 질병과 기아로 총질이 난무하듯,
재벌은 유전무죄고, 권력에 빌붙으면 온갖 뻥이 다 통하는 한반도 아랫녘도 마찬가지다.

신랄하게 까발긴 개방의 현실을 읽으면서 욕지기가 치밀어 오른다.
"광장에서의 개인 상실"과 "밀실에서의 인간성 상실"을 고뇌한 '광장'이란 소설 속에서 주인공 이명준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버린 상황과 송강의 죽음은 거기서 거기 아니었을까?

꿈이 없는 풍자 소설은 슬프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