뺨을 쓰다듬어줘

길고 가는 검지로 피의 회오리를 만들어줘

굳은살 박인 엄지로 이마를 눌러줘

뒤통수까지 관통하는 철의 지문을 찍어줘

사타구니에 두꺼운 책을 떨어뜨려줘

책이 무척 아플 있다는 깨우쳐줘

난간 너머로 공을 던져줘

허공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캐치볼을 해보자

망치질을 이름을 불러줘

이름이 조각으로 깨지는지 맞혀보자

고통은 공통의 심연

고통은 공통의 심연

노래를 지어줘

혼자서만 부르는 장엄한 합창곡을 지어줘

시집 <오늘은 모르겠어> 문지. 2017

[출처] 공통의 것 / 심보선|작성자 박동진


시인 심보선은 사회학자이기도 하다. 한국 사회의 아픈 측면을 놓치지 않고 시로 쓰는 사람이다.

아픔은 혼자 이겨내야 한다.

그렇지만 그 아픔은 나 혼자만의 것은 아니다.

세월호에서 죽은 아이들을 생각하면 아프다. 그 가족은 더 아플 것이다.

그렇지만 그 아픔은 혼자만의 것은 아이다. ‘우리의 것이다.

<고통은 공통의 심연>이라는 말이 그래서 나왔다.

노래를 부르자고 한다.

한 사람이 혼자서 조용히 부르는 노래는 점차 여러 사람이 부르게 되면서,

장엄한 합창곡이 된다.

사회의 아픈 모습들을 보고 외면하지 않고 기록하기로 하면서,

그 아픔들은 우리 공통의 것이라고 적는다.

뺨을 쓰다듬어줘

길고 가는 검지로 피의 회오리를 만들어줘

손에 피가 묻었다. 지하철 문에 끼어 죽은 청년을 생각했을까?

그 피로 뺨을 쓰다듬으며 얼굴에 피의 회오리 무니가 그려진다.

죽어가는 너의 피를 잊지 않겠다는 말을 이렇게 한다.

굳은살 박인 엄지로 이마를 눌러줘

뒤통수까지 관통하는 철의 지문을 찍어줘

문 사이에 끼어서 죽어가는 소년의 아픔을 생각했을 터이다.

뒤통수까지 철이 짓누르는 아픔 속에서 삶을 마친 소년.

사타구니에 두꺼운 책을 떨어뜨려줘

책이 무척 아플 있다는 깨우쳐줘

끔찍한 고통을 상상하기 위해 만든 문장이다.

두꺼운 책에 맞은 신체는 저릿저릿하다.

인체의 고통은 이렇게 언어를 통해, 책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그것의 시의 힘이다. 공통의 것. 공통의 아픔. 공통의 죽음.

난간 너머로 공을 던져줘

허공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캐치볼을 해보자

난간 이쪽의 나와 난간 너머의 너

너와 나는 같은 공간에 있었지만 이젠, 서로 다른 공간으로 헤어졌다.

용산 참사, 평택 쌍용자동차의 죽음, 세월호, 최근에는 이태원에서

그 아픔을 잊지 않도록 공을 던지고 받는 캐치볼을 해 보자.

망치질을 이름을 불러줘

이름이 조각으로 깨지는지 맞혀보자

망치질을 하던 노동 현장에서 이름조차 깨져서 사라져버린 노동자들이 있다.

그들의 망치질을 생각하면서, 그들의 이름을 불러 본다.

이제 사라진 그들의 이름을. 그렇지만 우리들 공통의 마음에 남아있는 아픈 이름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