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수숫대 / 장석남
-"
"

이삭 패기 시작한 수숫대가
낮달을
마당 바깥 쪽으로 쓸어내고 있었다
아래쪽이 닳아진 달을 주워다 어디다 쓰나
생각한 다음날
조금 여물어진 달을
이번엔 洞口 개울물 한쪽에 잇대어
깁고 있었다

그러다가 맑디맑은 一生이
수숫대를 본다
개의 서까래를 올린

속으로 달이
들락날락한다

 

"井上有의 <>字를 보며" 무한한 세상 하나를 또 그려내고 있다자세히 보니 두 개의 서까래를 올린  안에는 달도 칼도 조개도 온 세계가 다 들어 있다  <김인석·시인

 

이 시 속에는 세 가지 세계가 존재한다.

매달 차고 기우는 일을 반복하는 달의 세계와,

열심히 알곡을 채우는 노력을 다하면 수수를 비워내고 빈 수숫대가 되고, 다시 빗자루가 되는 수수의 세계와,

오랜 문명을 유지해온 중국의 문자, 한자 가난할 빈 ’ 자에서 상상하는 문자의 세계이다.

 

시인은 자라나는 수숫대 위에서 차고 기우는 달을 바라본다.

수수가 여물어서 알곡이 들어차는 모습과 초승달의 가벼워진 모습을 보면서,

마당을 쓰는 마당빗자루가 달을 쓸어내는 것처럼 보인다고 생각한다.

다 이지러진 달, 쓸모도 없어 보인다.

쓸모. 필요없는 것이 너는 왜 거기 그렇게 있는 것인가?

 

이삭 패기 시작한 수숫대가
낮달을
마당 바깥 쪽으로 쓸어내고 있었다
아래쪽이 닳아진 달을 주워다 어디다 쓰나

그렇게 생각한 다음 날,

마을 입구(동구 洞口) 개울물을 지나가다가 바라본 낮달은,

어제 수숫대 위에 떠오른 달보다 조금 더 커진 달을 보게 된다.

그러면서 달이 조금 더 여물어졌다고 생각하면서, 개울물에 잇대어서 꿰매어 놓은 것처럼 보인다고 생각한다개울물의 흐르는 모습과 달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 것같다.

 

생각한 다음날
조금 여물어진 달을
이번엔 洞口 개울물 한쪽에 잇대어
깁고 있었다

아무 욕심없이 가득 찼다가 텅 비는 달을 보면서,

가을이 되어 알곡을 인간에게 모두 내어 주소, 텅 빈 수숫대를 보면서,

인간이 가져야 할 마음 가짐을 생각해 본다.

, 인간인 나는 너무 욕심으로 가득한 것이 아닐까?

욕심을 채우려고만 노력하며 살고 있지 않나?

 

한자 가난할 빈자를 떠올려 본다.

그 속에는 나눌 분 分자도 있고, ‘달 월 月자 도 있고, ‘조개 패 貝자도 있다.

나눌 분 자는 어떻게 보면 서까래가 달랑 두 개뿐인 지붕 같기도 하다.

집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붕을 떠받친 서까래가 두 개뿐이라니. 참 소박하다.

그런 것이 가난한 삶이고, 자연의 이치 아닐까?

수숫대 위의 달을 보면서,

가난할 빈 자를 보면서,

자유자재하게 하늘을 옮아 다니며, 텅빈 마음으로 지나가는 낮달을 보면서,

나의 삶을 반성해 본다.

 

그러다가 맑디맑은 一生이
수숫대를 본다
개의 서까래를 올린

속으로 달이
들락날락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