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공부 - 장정일의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공부란 말을 사랑한다. 왠지 공부 하면 친근감이 든다. 사는 것이 하나의 공부의 연장 아닐까?

그런데, 장정일의 공부, 를 보았을 땐, 장정일이 좀 부담스러웠다.

그 앞에 붙은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가 가관이다. 딱, 이 말만 볼만 하다.

장정일은 책을 많이 읽고, 꼼꼼하게 읽는다. 학벌은 없어도 그만하면 좋은 학자라 할 법하다.

그런데, 장정일이 돈을 벌려고 그런건지, 출판사 랜덤하우스가 돈을 벌려고 그런건지... 인문학 부활... 이건 아니다 싶다.

인문학이 부활되는 것엔 나도 대찬성이다.
결국 인문학으로 돌아서지 않고는 사회의 기반을 따져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중구난방, 되는대로 여러가지를 읽도록 해 두고서는 인문학 부활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듯 싶다. 하, 그 출판사 이름도 참 '랜덤'하구만.

차라리 그의 '독서 일기' 라는 제목이 훨씬 내용과 부합된다.
물론 그래서는 판매에 실패한 경험이 있었겠지.
남의 리뷰를 돈내고 열심히 읽으려 하는 사람이 아무래도 적을 테니깐.
장정일의 이름을 앞세우고, 공부! 하고 붙여 두면 아무래도 인문학 쪽 사람들이 사서 보겠지. 그러니깐,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는 <인문학을 즐겨 읽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술 프로젝트>의 미화 정도 되겠습니다.

<분서>를 쓴 명말의 이단자 이탁에는 '성인의 가르침'에서 "나이 50 이전까지 나는 정말 한 마리 개와 같았다.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어대자 나도 따라 짖어댄 것일 뿐, 왜 그렇게 짖어댔는지 까닭을 묻는다면, 그저 벙어리처럼 아무 말 없이 웃을 뿐이었다."는 말을 인용하면서, 그는 덧붙였다. 언젠가 나는 이 글을 보고 핑, 눈물이 돌았다...고. 나도 이 글을 보면서 눈물이 핑, 돌았다.

공부란 <열정적 독서>와 같다는 그의 말에는 동감이다. 목적적 독서란 말이다.
알고 싶어 읽고, 입장을 갖고 싶어 공부한다는 그의 말도 좋다.
그래서 정열적으로 쓴 책만이 정열적으로 읽힌다.

그런데, 이 책은 정열적으로 쓴 책이기도 한데, 정열적으로 읽히지 않는 면이 있다. 너무 많은 주제들을 무질서하게 엮었기 때문이 아닐까?(내가 무식해서란 말은 곧 죽어도 안 한다. ㅋㅋ)

역사에서는 패배의 원인을 등한시하고 승리의 원인을 알고싶어하는 성향이 있다. 그러나 모든 승리에는 임기 응변이 있고, 모든 패배에는 불변의 법칙이 있는 법이다... 마르크 블로흐의 '역사를 위한 변명'에 이런 멋진 말이 적혀 있단다. 오늘날 이 혼란스런 사회를 바라보면서, 모든 패배에서 읽을 수 있는 불변의 법칙이 너무 많이 보이는 것 아닐지, 걱정스럽다.

친러파 민비조차 애국자로 만들고 마는 우리들의 정신적 승리법의 우매함을 꼬집는 고미숙의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같은 글도 지나친 흑백논리에 집착하는 이들을 우려하는 장정일의 시선이 따스하다.

좋은 책을 많이 읽었고, 좋은 글들을 많이 옮겼고, 특히 조봉암 선생 같은 이를 연구한 글들은 좋았는데... 이 책은 그간의 장정일의 행보에 뭔가 어긋난 느낌이 강하게 드는 건... 나의 성격 이상 탓이라 치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3-25 0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공부란 책을 좀 읽어보려 시도해도 넘 복잡다양한 지식성이 짬뽕과 설렁탕을 통과해서 미래에 올지 안올지 모르는 운하를 통과해서 다시 어디로 흐를지 모를 그런 난해하고, 아리까리한 책인 듯 싶습니다.
장정일의 사상을 이해하기도 전에 이책을 대하는건 좀 무리일듯....
공부란것 아마도 책내용속의 역사적인내용, 어려운단어를 개인적으로 찾아서 공부해야하는 방향으로 이해하는 편이 나을듯함. 그럼 또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