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배꼽 아이세움 배움터 6
과학아이 지음, 이샛별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제목을 참 잘 붙였다. 과학의 역사보다는 과학의 배꼽이 훨씬 낫고, 이 책은 사적인 통찰보다는 과학의 <발생>내지는 <근원>에서 활동한 과학자들의 이야기기 때문에 <배꼽>이 적절한 표현인 듯 하다.

간혹 과학자들 중에도 인문학적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있다.

태생인 포유류의 공통점인 '배꼽'의 기능은 무엇일까?

배꼽에서는 수십 년이 지나도, 꼽꼽한 곱창 냄새가 난다.
이 냄새는 모태에서 영양분이 흘러오던 길이 아직도 막혀있지 않다는 증거다.
그리고, 배꼽은 생명체의 중앙에서 생명체에 흐르는 모든 정기의 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자리한다.
그래서 배꼽없는 생명체란 생각할 수도 없을 것이다.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를 달고 목구멍에 구멍을 뚫어 영양분을 공급하는 처절한 장면은 얼마나 비인간적인가. 반면, 물속에 가라앉아 느릿느릿 36도의 양수를 즐기며 눈을 지그시 감고 배꼽으로 숨쉬고 배꼽으로 영양분을 섭취하는 아가의 모습은 철학자의 그것같지 않을까?

과학의 배꼽에서 활동했던 탈레스, 피타고라스, 아낙사고라스 등등의 인물들은 과학자도 철학자도 아닌, 모든 지식에 대한 갈증으로 목말라했던 이들이다.

후손인 우리가 그들을 보니 과학도 같고 철학도 같고 문학도 같은 거지, 그 사람들은 과학이라고 할 것도 전혀 없었던 거다.

초등 고학년 정도라면, 중고등학교에서 배울 과학의 전단계로써 이런 책 한두 권쯤 읽어둠직도 하다.
공부란 것은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 사실은 인간의 궁금증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란 사실을 생각하게 하는 것도 중요할 듯.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기로운 2007-01-23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가 과학에 대해서 호기심이 많던데.. 그냥 호기심요^^;; 요즘은 전지로 불을 켜는것 하고픈가봐요^^ 집에 돌아다니는 건저지란 건전지 모으고 있어요^^ 이미 다쓴것도요.. 나중에 조그만한 전구도 사다 주어야겠어요...^^

글샘 2007-01-24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구점에 가면 꼬마전구랑 스위치 세트 팔아요. 하나 사다 줘 보세요. ^^

향기로운 2007-01-24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몰랐어요^^;; 과학도구는 어딘가에서 따로 팔겠거니.. 집에서 가깝지 않으면 따로 시간내어라도 다녀와야지 했었는데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