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학교 밖 아이 창비청소년시선 8
김애란 지음 / 창비교육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란 곳은 참 따분하다.

초,중학교까지는 의무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같은 교육과정을 이수하지만,

고등학교는 성적에 따라 나뉘고,

공부와 대학입시라는 강박이 따라다니게 된다.

 

아줌마들은 처음에

우리가 문제아라서 비행 청소년이라서

학교에 안 다니는 줄 알았답니다(오늘따라 왠지, 부분)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도 거의 문제아다.

수업시간에 자는 문제행동을 아무 것도 아닌 듯 보인다.

그렇지만 경쟁을 위한 학교에서는 자는 아이들을 어찌할 수가 없다.

 

집에선 안 보이던 길이

나가니께는 보이제?

것도 이 길 저 길 많이 보이제?

똑같은기라

지금은 암 것도 안 보이고

똑 죽을 거맹키로 막막한 거 같어도

일단 나서면 보이는 게 길이래이

가다 보면 없던 길도 생긴대이

길이 끊기몬 돌아서면 되는 기라

그라믄 못 보고 지나친 길이 새로 보이는 기라

어디든 길은 쌔고 쌘 기라(길, 부분)

 

요즘엔 자퇴하기 전에

숙려제도라고, 일정 기간의 유예를 둔다.

그렇지만 이미 매력을 잃어버린 학교로 돌아오는 경우는 드물다.

 

어떻게 가도 다 살아진다.

다만, 경쟁과 명문대 입학만을 최우선으로 삼는 사회 풍토에서는

어떤 다른 길도 길이라고 여기지 않는 것이 문제다.

 

사회가 바뀌지 않으면 학교도 바뀌기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