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 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사체로 알고 있던 완당 김정희의 일대기이자,

그의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십여 년 전에 완당 평전이란 책을 읽은 적이 있지만,

청나라 학자들과의 교류가 기억에 남는다.

이제 새로 펴낸 추사 김정희를 읽자니,

그 시대를 다시 돌아보게 되고,

북학(맹자에 나오는 표현으로 이상보다는 현실, 관념보다 사실을 중시하는 일)의 시대,

공맹이 한물 간 시대의 지식인 노마드로서의 김정희를 만나게 된다.

 

정조 사후의 순조, 헌종 시절을 거치면서 제주도에 위리안치되었다 용산(강상)으로 겨우 돌아오고,

노년에는 다시 함경도로 귀양을 갔더라는 사실은 시절의 혹독함을 느끼게 한다.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글씨는 '유재'의 두 글자다.

 

기교를 다하지 않고 남김을 두어 조화로움으로 돌아가게 하고,

녹봉을 다하지 않고 남김을 두어 조정으로 돌아가게 하고,

재물을 다하지 않고 남김을 두어 백성에게 돌아가게 하고,

내 복을 다하지 않고 남김을 두어 자손에게 돌아가게 하라.(340)

 

뭔가 예술과 삶이 하나의 도의 경지를 품은 인격을 느끼게 된다.

 

추사의 재능은 감상이 가장 뛰어났고,

글시가 그 다음이며, 시문이 또 그 다음.(495)

 

감상은 미술품 감식,

금강안 혹리수.

서화 감상하는 데는 금강역사 같은 눈과

혹독한 세리 같은 손끝이 있어야 그 진가를 다 가려낼 수...(496)

 

금강안 혹리수... 멋지고 날카로운 말이다.

 

즐거운 독서를 하면서, 못내 눈에 밟히는 해석이 몇 군데 있었는데,

소소한 작품이야 내가 다 번역할 능력이 안 되지만,

유명하고 굵직한 작품들이라 부족한 점이 눈에 띈다.

 

한시 번역은 전적으로 정민 교수의 도움으로...(580)

 

보통 부족한 점은 자기의 소치로 여기던데, 틀리거나 어색한 부분은 전적으로 정민 교수 탓인 걸까?

 

호고연경으로 불리는 아주 유명한 작품이다.

 

옛것 좋아 때때로 깨진 빗돌 찾았고,

경전 연구 여러 날에 쉴 때는 시 읊었지(199)

 

이렇게 번역되어 있는데, 전혀 대구에 어울리지 않는다.

두번째 구절은 <경전 연구 여러 날에 시도 읊지 못하네>가 어울린다.

쉴 때 시를 읊는 것과 비석을 찾는 것은 대구가 되지 않는다.

비석 찾고 경전연구 한다고 시도 못 읊는다는 즐거운 비명인 셈이다.

 

이런 어색한 구절은 유명한 '다반향초'에서도 등장한다.

 

 

고요히 앉은 곳, 차를 마시다가 향을 처음 사르고

오묘한 작용 일 때, 물 흐르고 꽃이 핀다.(394)

 

도대체 뭐하자는 건지 마음에 떠오르지 않는다.

부족한 해석을 넘어 틀린 풀이다.

 

다반향초는... 차를 절반 마셔도 향은 처음처럼 남는단 의미다.

술이름 <처음처럼>의 원조라 할 만하다.

 

고요히 앉은 곳, 차 반잔을 마셔도 향기는 그대로이고,

묘하게 음미하면, 입안에 물 흐르고 꽃이 피네...

 

이런 해석이 더 가깝겠다.

차를 마시는 일의 향기로움을 입 안에 꽃이 피는 것에 비유한 셈이다.

다반향초는 '오랫동안 변치 않음'을 상징하는 말이기도 하다.

문재인 대통령께 다반향초 하소서... 하는 덕담도 많았다.

 

 이 작품의 제목을 <장강 서세>라고 적었다.(520)

 

장강 일만 리가 화법 속에 다 들었고

글씨 기세 외론 솔의 한 가지와 꼭 같구나.

 

정민 선생의 번역 이야기에 글에 충실하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화법은 장강만리가 있고

서세는 외론 솔한가지 같다... 순서를 바꾸는 일도 읽기에 불편하다.

 

 

맞춤법 고칠 곳... 513쪽.

 

논어에서 사야는 올곧은 군자의 모습을 일컬은 표현으로,

'세련됨과 거침'이라는 뜻이다.... '거칠다'의 명사형은 '거칢'으로 써야 옳다.

'거침'은 중간에 어디를 거쳐서 온다고 할 때 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