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유냐 존재냐 ㅣ 범우사상신서 3
에리히 프롬 지음. 방곤,최혁순 옮김 / 범우사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학습, 기억, 대화, 독서, 권위의 행사, 지식
소유는 고정된 체 어떠한 외부적, 내적 충돌을 회피, 억압하며 물리적 암기를 강요한다.
존재는 유연체, 외부와 자아의 부딪힘이 자연스럽고, 힘으로 억누르지 않는다.
지은이는 소유로 나아가는 사회 현실에 대해 크게 걱정과 비판적 견해를 읊는다.
1.
소유는 어떻게 우리 생활에 스며들었나. 12년의 교육은 암기 위주이며 어떤 사고를 비판적으로 하는 것을 경계한다. 몇 해 전에 이명원이 김윤식의 논문을 비판했을 때 '아들이 아버지를 찔렀다'는 시적 언어가 비수가 되어 나돌았다. 지식은 권위와 결부되었고, 권위는 소유와 뭉쳐져 있다. 즉 내 지식은 절대적 소유의 진리가 된다. 12년간의 암기 위주ㅡ지식 습득은 비판적 사고라는 혁명을 죽임고 동시에,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물질의 소유가 행복인냥 무의식 중에 가둔다. 즉 공부를 하는 것은 대학을 나와 더 많은 물질을 소유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여기에 물질을 많이 소유하는 것이 삶의 근원적인 목표나 행복의 잣대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은 지운다. 중요한 것은 우리는 많은 것을 소유할 수록 더 허기진 아귀처럼 두 눈을 부릅뜨고 힘차게 달린다는 것이다. 먹어도 먹어도 채워지지 않는 욕망이여, 너는 나를 소유하고 있는 괴물임에 분명하다. 그렇다면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이라는 괴물에 구속되어 있는가?
소유가 존재를 억압한 20세기 한국 사회에서 행복지수가 크게 높지 않더라도 당연하다.
학교가 학생들에게 '지식의 꾸러미'(71쪽)를 행복의 척도인냥 내세우지 않고 지식을 인식하여, 우상을 만들지 않고, 스스로 사념을 구하는 방법을 가르킬 때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다.
"우리의 교육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지식을 소유로서 갖도록 훈련하는데 애쓰고 있으며, 그 지식은 그들의 후일 갖게 될 재산, 혹은 사회적 위신의 양과 대체로 비례한다."(71쪽)
어느 고등학교에서 서울대를 더 많이 갖느냐가 명문으로 둔갑하는 현실은 학생과 우리에게 존재를 인식케 하지 않고, 무엇을 소유케 세뇌하고 있다. 감옥으로의 사색에서 지은이는 어느 시인의 말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겨울밤, 단 한명의 거지가 떨고 있어도 우리에게 행복한 밤잠의 권리는 없다." 고등학생이 시험을 비관하여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쟎아요 하며 울때, 스승이 울지 않는다면 우리 사회의 교육은 죽었다. 라이머의 『학교는 죽었다』는 한 세대 전의 역사는 굿굿하게 흐르고 있는 것이다.
2.
모든 새로운 발걸음은 실패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이토록 자유를 두려워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두려움을 안고 태어나는가? 환경에 의해 길러지는가? 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은이는 그의 입을 통해 [자유에로의 도피]의 주제라고 했다. 나는 사람의 본질을 꿰뚫는 화두로 읽는다.
'발걸음이 실패의 두려움'을 안고 있는 것은 현실에 대한 안위이며, 가진 것 즉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두려움의 근원은 어디인지 모르나 내가 가진 것이 없다면 두려움도 없다. 즉 바람이 자유로운 것은 형체가 없고 소유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새로움 앞에 발걸음이 주춤한다는 것은 나는 '소유적 자아'를 지니고 있으며 '존재적 자아'를 멀리 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는 지은이가 소유를 수동과 집착, 존재를 능동과 자유로 말한것과 같다.
약관의 나이가 지나고, 입지가 지난 다음에는 환경이 중요하지 않다. 절대적, 불가항력적 울타리라는 환경이 존재했더라도 지금 내 의지가 환경을 넘어설 수 있기 때문이다. 항상 내가 두려움 앞에 멈춰설 때 소유냐 존재냐를 물어야 한다. 그리고 그 말에 귀를 기우려야 한다.
소유와 존재는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이기에 어디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물음이 존재한다. 위의 글은 학습과 기억, 대학이 만들어내는 소유와 존재에 관한 물음을 정리하였다.
책의 아쉬운 점은 지은이가 너무 같은 말의 반복과 사유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소유냐 존재냐』의 물음, 즉 존재로서의 자아를 가지고 사는 곳이 라다크가 아닐까 한다. 이런 점에서 『다람살라의 선물』을 읽어보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