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보다 쓰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읽는 데 품이 10 들어간다면 쓰는 데는 90이 들어가는 것 같다.
리뷰는 써도 써도 어렵고, 페이퍼는 더욱 품이 들어간다고 느낀다(맥락이 이어져야 하는 이야기라서?).
어쨌든 매일 책을 읽는다.
정말 시간이 없어서 책 한 자 못 보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때는 오디오북이라도 들었었던 것 같다.
매일 시간은 한정적이고 주중에는 책 읽을 시간조차 부족하니 기록하기가 힘들다.
그래도 기록은 해야 할 것 같아서 연말 알라딘에서 준 노트에 책을 읽고 느낀 소감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하며 자위한다.
1월부터 시작해서 아직까지는 하루 이틀 빼고는 빼지 않고 기록 중이다.
현재 읽고 있는 책들이다.
이렇게 놓고 보니 잡식성 읽기가 되고 있네.
잃.시.찾 2권은 스완의 사랑 이야기가 길어서 좀 지치는 듯하지만 어쨌든! 프루스트의 이야기는 전체가 여전히 다가오지 않는다. 부분만 좋다고 느낄 뿐, 군데 군데 좋은 문장들은 있다. 과연 끝까지 이럴지... 아마도 그럴 것 같은 예감.
통감절요 1권은 한나라 이야기에 들어갔고 매일 조금씩이라도 읽으려고 노력 중이다. 사실 이 시리즈가 8권까지가 있는데 동영상 강의는 1권이면 끝이어서 2권부터 읽을 때는 강의 없이 오롯이 스스로 공부해야 한다. 진정한 공부는 2권부터 시작일듯하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읽어보니 당시에도 논란이 많았을 듯한 느낌? 노예는 물건으로 취급되고 노예 소유주는 이들을 사고 판다. 소유주는 노예를 소유하는 것 자체에 문제를 느끼지 않고 자신의 행위가 그들에게 마치 큰 자선이나 친절을 베푸는 것처럼 생각한다. 국민의 권리를 위한다는 의회 상원의원도 마찬가지다. 그가 생각하는 국민에 노예의 권리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이렇게 태어났으니 체념하고 받아들여야 해. 하느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나를 태어나게 했으니 감내해야 해.' 물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질문하는 이들도 있다. '우리의 권리는 왜 없는지... 왜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이것 뿐인지. 회개하고 기도를 열심히 하는데 왜 그에 대한 응답은 없는지.' 등등.
토지는 열청중이다. 어느덧 13권. 시대가 바뀐 만큼 초반을 이어가던 인물들은 대폭 물갈이되었다. 책의 인물들과 얽힌 역사적 사건이 나오면 같은 과거의 사건이라도 새롭게 느껴져서 놀랍다. 내용이 아무래도 무겁고 시대물이라 숨가쁘고 답답해질 때가 많지만 작가님의 필력만큼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어린왕자 중국어 원서(小王子)와 1984&동물농장 영어 원서를 읽기 시작했다.
어린왕자는 ch3을 읽고 있다. 문장이 생각보다 쉽지는 않다. 나는 원문도 문장이 쉽다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중국어로 옮겼을 때는 더욱이나 어려울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럼에도 이 문장이 이렇게 바뀌었어? 하는 것이 눈에 보일 때 놀랍다는 생각을 한다. 이것은 영어 원서 읽을 때도 마찬가지 즐거움이다.
1984와 동물농장은 진작부터 영어 원서로 읽고 싶던 작품이었는데 이제야 시작하게 되었다. 소설이지만 소설 같지 않은 다큐에 가까운 과거의 현실을 담고 있기에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듯하다.
집에서 사용중인 독서대가 무엇인지 확인해보았는데 요즘은 목 때문에 거의 이것을 주로 사용한다. 제품 모델명은 정확히 모르겠고 브랜드는 SOYMIX 란다. 교보문고 기프트몰에서 샀던 것 같다^^;



이렇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모델이다. 자기 목에 맞게 조절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