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eBook]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309동1201호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판매중지


이 책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 제목만 들어봤는데, 그때는 현실감이 없었다. 그런데 막상 직장을 그만두고 대학원에 들어와서 들여다보니, 확실히 문제가 있다. 특히나 나도 인문학 쪽에 있기에 더 공감가는 부분이 많았다. 직장인들이 "미생"을 읽으며 마음이 저릿저릿 했다면, 대학원생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그렇겠지.

 

p13 대학은 그 어느 기업보다도 노동권의 치외법권 지대에 있다.

 

지도 교수 혹은 대학측은 대학원생들의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볼모로 학생들의 노동력을 마구마구 쓴다. 최저 시급도 안되는 돈을 받으면서도 일을 꾸역꾸역 해낼 수 밖에 없는. 아마 학생들에게는 이렇게 배우는 거다 하겠지만. 글쎄...   

 

대학원에 와서 깜짝 놀랬던 일은 이제 막 박사학위를 받은 혹은 아직 박사 과정 중인 분들이 수업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물론 학위라는 것이 종이 한장에 불과하지 않냐 하고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많은 연구를 하는 분의 깊이 있는 강의를 듣고 싶었다. 문제는 정말 이 사람들의 수업은 학생들의 발표 수업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 글을 읽으며 100% 공감한 부분이다.

 

p80 좋은 수업을 하는 교수는 수강생의 발표 수준에 맞춰 그에 따른 피드백을 해준다. 분야의 권위자와 주목할 만한 신진 연구자를 소개해주고, 학계의 최신 동향을 일러준다. 어느 부분을 수정하면 어느 학회에 투고할 만한 수준의 논문이 될 거시라는 것을 한눈에 포착해 조언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교수가 더 많다. 그저 대학원생의 발표에 전적으로 의존해 수업을 진행한다. 누구를 위한 것인지 모를 의미 없는 발표가 이어진다. 제대로 된 피드백도 없이 그래 고생했어요 이 책은 다 읽어봐야죠, 하는 식으로 수업이 끝난다. 자신이 장악하지 못한 텍스트를 과제로 내고 함께 토론한다는 명목으로 오히려 대학원생의 시각에 끌려다니기도 한다.

 

한 번은 지도교수의 생일 축하를 위한 식사자리를 마련하자는 이유로 수업을 휴강한 적 있었다. 모두들 그냥 학과의 관례라 생각하고 따르는데, 나는 좀 이상했다. 지도 교수의 생일이 휴강할 이유인지.

 

p179 어느 집단이든 스스로의 존재 가치를 위해 최후까지 지켜내야 할 보루가 있는데 학생의 경우엔 '수업'이다.

p179 "학생의 수업권은 누구도 간섭할 수 없으며 끝까지 사수해야 하는 소중한 권리입니다. 만일 학교가 그 어떠한 이유로든 그것을 훼손한다면 참아서는 안 됩니다. 스스로 그 가치를 훼손하는 것은 가장 부끄러워해야 할 행위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온전히 피해자이지만 1년이나 2년 후에는 학생 자치 기구의 의사 결정권자가 됩니다. 그때 다시 지금과 같은 결정을 내린다면 저는 무척 실망할 것입니다."

 

약자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고쳐나가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런 문제에 관해 '문제의식'이란 걸 가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 내 삶의 주인이 되는 문화심리학
김정운 글.그림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저자의 이전 책들을 참 재미있게 읽었다. 글을 읽어가는 재미가 있었다. 이 책도 그렇다.

유쾌하다. '교수'라는 분들은 어렵게 쓰는데 이 분은 그렇지 않아 좋다.

거기다, 미술 공부하겠다며 정년이 보장된, 사실 교수가 된 것도 어렵사리 됐다면서, 그걸 덜컥 사표쓰고 갔다는 것도 참 재미있다. 100세 시대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몸소 실천하는 분이 아닌가 한다. 미술 공부하러 간다고 할때 왠지 나도 처음 조영남 흉내 생각했는데, 저자도 그런 소리 많이 들었다고. 그런데 요즘 뉴스에 나오는 조영남 대작 사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실런지 궁금해 진다.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고 제목부터 말하고 있고, 불필요한 인간관계 끊어야 한다고 하지만, 역시 이 분도 별 다를 게 없구나 싶은 대목이 일본에서 있던 시간이 외롭다고. 그리고 이렇게 유명한 분도 졸업작품 전시회에 딱 한 사람 와줬다는 부분에서.

그런데 내 남편이, 내 아버지가 어느 날 갑자기 이렇게 안정적인 직장을 그만두고 그림을 그리겠다고 한다면 나는 감당할 수 있을까? 사실 내 자신은 이 책을 읽는 내내 나 죽을 때까지 배움과 관심의 끈을 놓치 않으리라 했는데, 만약 배우자가 이런다 하면.... 나 참 이기적이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그의 견해에 동감 한 표.

p242 '교육'이라는 단어 자체가 바뀌어야 하는 세상이다. 일부에서 교육이라는 단어 대신 '교섭'이라는 단어를 써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래야 진정한 의미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거다. 아무튼, 일방적 계몽 시대는 이제 명이 다했다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리막 세상에서 일하는 노마드를 위한 안내서 - 누구와, 어떻게, 무엇을 위해 일할 것인가?
제현주 지음 / 어크로스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15년차 직장인이다. 처음 직장생활을 시작할 땐, 회사 생활 "열심히"만 한다면 과장되고 차장되고 부장되고... 쑥쑥 승진도 하고 잘 될 것이란 희망이 있었지만, 지금은 뭘 하고 살아야 하나 그 걱정 뿐이다. 회사라는 곳이 일정정도 다니다 보면 그 한계가 보이니 다시 공무원 시험을 보겠다고 준비하는 친구도 있고, 얼마전 임용시험에 합격해서 회사를 그만 둔 직장동료가 한없이 부럽기도 하다. 

대체 일이란 무엇이기에.... 제현주씨의 일에 대한 정의. 참 깔끔하다.

 

p.6 어떤 일을 나의 일이라고 부른다는 것은 그 일이 를 설명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나의 일을 가지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은 직장이나 직업이 나를 설명할 수 있게 되기를, 내가 매일 하는 를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p.22 “난 왜 일에 의미를 부여했을까. 일일 뿐인데. <미생>

p.41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은 잊고, 당당한 소비자 행세만 하며 살아가는 쪽이 편리하다는 요즘 세상에서도 일은 여전히 우리 삶의 중심을 이룬다. 일로서 이루고픈 많은 것이 여전히 결코 소비로서 대체될 수 없다. 우리는 일을 통해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싶고, 사회적 인정도 받고 싶으며, 즐거움도 누리고 싶고, 좋은 사람과 교류하고도 싶다. 직장에 첫발을 내딛고 조금만 시간이 흐르면 일에 이렇게 많은 의미를 부여해봤자 실망할 것이 뻔하다는 것을 십중팔구 깨닫게 된다. 그러나 일에 투사하는 수많은 욕망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래서 일하는 우리는 씁쓸함에 시달린다.

일은 일일 뿐인데, 나와 일을 동일시. 내가 큰 회사에 다니면 좀 큰 사람이 된 것 같고, 작은 조직에 들어가는 순간 나는 또 한없이 작아진다. 내 스스로도 그런 생각을 하지만, 또 명함을 받아들 때 상대에 대해 그런 평가를 하게 된다. 이런 몹쓸.... ㅠ.ㅜ

p.48 일에 대해 생각한다는 것은 일을 이루는 활동, 일이 낳는 결과와 함께 일이 놓인 차원과 일을 통해 형성되는 국면을 이해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떻게 일하고 싶은가?”라는 문제를 훨씬 더 정교하게 구성하게 된다. 무슨 일을 어디서 누구와 얼마나 오랫동안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 재미있는 일을 원한다면 나는 어떤 것에서 가장 큰 재미를 느끼는가? 나는 어떤 상황을 가장 견딜 수 없어하는가? 돈을 벌어야 한다면 얼마를 벌어야 하는가? 나에게 가장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어째서 그것을 가장 가치 있게 생각하는가?

회사를 옮겨보니 알겠다. 나는 어떤 조직에 있고 싶고, 어떤 일을 하고 싶고, 누구와 일하고 싶은 가를. 좀 더 객관적으로 보게 된다. 저자가 말했듯 "괜찮은 일자리에 있는 사람들조차 다음 자리를 고민한다. 대우가 좋아 선택한 직장은 일이 단조로워 괴롭다. 흥미로운 일에 끌려 옮긴 직장은 월급이 쥐꼬리다. 간판이 번듯한 직장에서는 위계질서가 나를 짓누른다. 더 나은 일자리를 찾는 이들의 마음은 모순된 욕망에 끊임없이 시달린다."  그런데, 어쨌든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나와 잘 맞아야 한다. 아무리 월급이 안정적이라 한들 책임회피형 직장상사를 만나거나, 싸가지 없는 부하직원과 같이 일한다면 그게 뭐 그리 좋겠는가.

 

p.131 한발 더 나아간다면 직접 존 에이브램스가 되기를 꿈꿔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런저런 눈치를 보지 않고도 마음껏 일하거나 일하듯이 놀기 위해서.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또 못할 일도 아니다. 마음 맞는 사람을 모아 공동으로 소유하고 공동으로 경영하는 회사를 만드는 것이 꼭 에이브램스만 할 수 있는 일이겠나. 사우스마운틴컴퍼니가 화려한 위용을 자랑하는 회사가 아니라는 것도 큰 용기를 준다. 내게는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보다 에이브램스가 훨씬 더 만만한 롤모델처럼 보인다. 에이브램스의 책 <가슴 뛰는 회사>를 읽으면서 제목 그대로 내 가슴도 뛰었던 이유다.

p.178 어쩌면 우리에게 필요한 스토리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대답이 아닐지 모르겠다. 우리가 물을 것은 내 옆에 누가 있는가. 그리하여 가 아니라 우리가 이 모든 일을 통해 어떤 이야기를 발견할 것인가를 물어야 한다. 함께하는 손이 있을 때야 비로소 시시포스에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이라는 것은 결국 '나'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문제이다.  

 

p.230-231 능력을 갈고 닦는다고 해서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다.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 되려면 등가성을 따지지 않고 내 존재의 의미를 발견해주는 일터에서 일해야 한다. 내 존재 자체를 일의 규정에 포함해 주는 일터가 필요하다. 그런 일터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없다면 우리 스스로 무리를 이루어 만들어낼 수는 없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피드 리딩 Speed Reading - 영어 원서를 한글 책처럼 읽는 기술
신효상.이수영 지음 / 롱테일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영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잘 하고 싶어하고 영어 공부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 한다. 한때 어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쳐도 봤지만, 솔직히 이런 것들을 왜? 왜 하는지 회의적일 때가 많고,

, 업무적으로 영어를 거의 쓸 일이 없는 사람들에게 영어 성적을 제시하라고 하는 것 또한 낭비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영어를 왜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좀 더 현실적인 이유와 대책이 필요했다.

  

영어를 잘한다고 혹은 잘하고 싶다고 할 때 speaking을 떠올리지만, 실제 업무상으로 그렇게 쓸 일이 없고 일상에도 그리 쓸 일 없다. 그런데 reading은 좀 다르다. reading은 전문 원서 리딩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습득하고, 삶과 업무에 적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우리가, 좀  더 구체적으로 30대 이상의 직장인들이 영어를 공부하는 궁극적인 목적일 것이다.

 

 

p25 스피드 리딩은

     자신이 잘 알고 좋아하며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의 영어 원서를

     1분에 150단어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읽는 것을 말한다.

    

스피드 리딩 전에 나의 영문 읽기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사이트도 소개되어 있다.  

http://www.readingtc.com/reading/test.html

 

꾸준히 읽어 나가는 것이야 어떤 책에서도 수도 없이 나온 이야기라 특이할 것이 없다. 꾸준히 읽어 나가는 것, 불변의 진리다.

그런데, 내가 눈여겨 본 부분은 mother book에 대한 이야기!

많이 읽는다고 결코 좋은 것도 아니고, 현실적으로 한글 책도 읽기 힘든데 영문책을 무작정 많이 읽어볼 수 도 없다. 대신, mother book을 읽어보는 것!

p207 Mother Book이란 하나의 필드를 새롭게 개척한 책으로,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사랑받아온 책들이다. 또한 분야를 넘나들며 다른 책들에 수없이 인용되고 재사용되는... 예를 들어 사회 심리학의 에리히 프롬, 경영학의 피터 드러커, 미래학의 앨빈 토플러 같은 저자들의 책이 Mother Book으로 일컬어진다.

 

여기서 소개한 전문 원서 읽기 순서를 따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피터 드러커 시리즈: The Essential Drucker -> The Effective Executive

 

짐 콜린스 시리즈: Beyond Entrepreneurship -> Build to Last -> Good to Great

 

알 리스 & 잭 트라우트 시리즈: Positioning -> Marketing Warfare -> Bottom-Up Marketing -> The 22 Immutable Law of Marketing -> A Genie's Wisdom -> The New Positioning -> Jack Trout on Strategy

 

세스 고딘 시리즈: Permission Marketing -> Unleashing the Ideavirus -> The big Moo -> Purple Cow -> All Marketers Are Liars -> Free Prize Inside -> Survival Is Not Enough -> The Dip

 

사실 이것의 효과를 보느냐 마느냐는 순전히 실천하는 사람의 몫일 것이다!

Wish me luc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