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할리우드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그들의 이야기는 너무나도 예측하기 쉽기 때문이다.  

고백하자면, 평범한 작품은 시작하고 나서 15분만 지나면 대부분의 트릭을 알아차릴 수 있다.
내가 특별한 게 아니다.
할리우드식 스토리텔링이라는 것은 원래 그렇게 생겨먹은 탓이다.  

초반 15분 내에 암시와 복선이 모두 깔려야 한다.
그래야 결말의 완결성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초반 15분 내에 모든 인물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래야 이야기 구조가 짜임새를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뻔한 스토리텔링도 참신한 때가 있었지. 1970년대까지는.
하지만 이제 낡고 낡은 방법이 되어 버렸다.
그러니 조금만 집중해서 보면 스토리텔링의 법칙이 보이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혹 참신한 아이디어가 빛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MIB(Man In Black)> 시리즈. 
스토리텔링, 캐릭터, 특수효과, 어느 것도 별반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우주관 만은 찬란했다.  

은하계가 구슬만큼 작다는 설정
,
그래서 그것이 고양이의 목걸이가 되기도 하고,
외계인들의 구슬치기 장난감이 되기도 한다는 것!   


우주로 구슬치기

은하계가 사물함만하다는 설정.
인간은 사물함 속에 사는 외계인을 비웃었지만,
결국 인간도 사물함 속에서 살고 있을 뿐이라는 것!  


사물함 속 우주

이 놀라운 세계인식이 작품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나는 너무도 무지했기에,
이런 우주 인식이 동양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닐까,
코믹스에 유사한 설정이 나오는 것은 아닐까, 등등의 추측을 했을 뿐이다.  

그런데 이제야 비로소 알았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보르헤스의 미국 문학 강의 http://blog.aladin.co.kr/rahula/5076272

그의 여느 저작처럼, 짧고 간결하면서도 명료한 글을 통해
미국의 전통적인 사조 중에 초월주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1836년부터 약 25년 동안 유행했고,
이후에는 여러 작가들에게 영향을 준 이 사조의 핵심은,
"우주에 내재하는 신의 속성"이라는 것이라 한다.  

이는 곧, 

   
  초월주의 시인 에머슨은 소우주, 즉 축소세계가 아닌 존재는 없다고 주장했다. 개인의 영혼은 세계의 영혼과 일치한다. 물리법칙은 도덕법칙과 맞물린다. 만일 각각의 영혼마다 신이 계신다면, 외부의 모든 권위는 무의미해진다. 한 사람 한 사람마다 내면 깊은 곳에 깃든 비밀스런 신성이면 족하다. - p.52.
 

아하, 이런 사조가 있었구나.
이런 사상의 영향을 받았으니 MIB의 우주관 같은 것이 가능했지!

역시 알아야 보인다. 아니 아는만큼 보인다.
공부하자. 그것이야말로 공부의 목적이다.

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