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 2004년 제28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김훈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품집을 읽는 내내 참담했다. 과연 이것이 우리 문학의 현주소인가? 고작 이것이? 다른 문학상이 아니다. 이상(李箱)을 기리는 문학상이다. 이상이 누구인가? 근대, 그것도 봉건잔재를 털어내지 못한 식민지적 근대라는 상황을 현대의 감수성과 상상력으로 살았던 작가가 아닌가.

그런데 그를 기리는 문학상의 수상작, 그리고 후보작들의 상상력은 왜 이리 초라한가? 그 감수성은 왜 이리 빈곤한가? 작가 이상은 식민지 조선의 초라한 현실을 박차고 날아오르기 위해서 날개야 돋으라고 절규했다. 그러나 이 작품집에 수록된 그 어떤 작품에도 날개는 없다. 그들은 남루한 현실을 족쇄처럼 발에 달고서, 이상(理想)은커녕 몽상(夢想)도 꿈꾸지 못하고 있다.


김훈,「화장」

-  다른 작품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불륜관계에 있는 여자 부하직원에 대한 이야기는 보잘 것 없고 다소 천박하기까지 하지만, 죽어가는 아내에 대한 부분에서는 냉정한 산문정신이 발휘되고 있다. 그러나 그런 장점을 십분 이해하더라도, 화장(火葬)과 화장(化粧)의 결합이, 이상에 견줄만한 상상력은 아니었다.

문순태,「늙으신 어머니의 향기」

- 교과서적인 작품이긴 하지만, 지나치게 규범적이다. 초반에 아무리 부정을 한다고 해도, 이미 제목에서부터 어머니를 긍정하리라는 예측이 가능했다. 냄새에서 향기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애초부터 향기였던 것을 다시 한번 향기라고 말하는 것에 불과하니, 새로울 수가 있겠는가?

:

구효서,「밤이 지나다」

- 이런 식의 인식이 다른 작가들에 의해서 제시되었던 것이 아니라면, 이 작품은 참신할 수 있었다. 작품 자체의 구성이나 분위기 등은 참으로 좋았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이 작품은「말발굽 소리를 듣다」․ 「천지간」등의 윤대녕식 감수성이나, 이순원의「은비령」등의 감수성과 너무 닮아있다. 그래서 충분히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작품이 참신하게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특히, 혜성, 천문대, 별 따위의 상징은 이제는 정말 전혀 낯선 것이 아니다.

:

김승희,「진홁파이를 굽는 시간」

- 도무지 이런 이야기가 왜 대단하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이 글은 심오한 척 하려는 넋두리에 불과하다. 이런저런 얘기를 나열하고 있지만, 삶이 왜 진흙파이라는 것인지, 이 등장인물들의 생활이 이런 인식에 도달 할 만큼의 가치를 가지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말을 내뱉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말을 진정으로 받아들이게 해야 비로소 좋은 소설이다.


전성태,「존재의 숲」

- 낡은 이야기이기 때문에 오히려 참신하지만, 말 그대로 상대적인 장점일 뿐이다. 작품 자체에는 신뢰가 가지 않는다. 문장은 매력적이지만, 이야기 자체의 힘이 없다. 어디에선가, 예전의 어떤 작품에선가 보았던 이야기들과 그리 다르지 않다.


고은주,「칵테일 슈가」

- 형식은 재미있지만 내용은 무엇 하나 새로울 것 없음. 제법 기교를 부린 드라마를 보는 기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충분히 무게감을 갖출 수 있는 내용을 가렵게 흘려버리고 말았다. 또한 등장인물들 간의 차이도 그리 크지 않아서, 비슷비슷한 인물들이 반복적으로 제시된다는 인상을 준다. 조금 더 정교했다면 훨씬 재미있었을 텐데, 아쉽다.


하성란,「그림자 아이」

- 베트남전쟁, 갑오농민전쟁, 프로야구 원년 개막전 등 다양한 이미지들의 세련된 제시가 돋보인다. 하성란의 다른 작품들과 같은 장점과 단점을 가진 작품이다. 이미지의 제시는 매력적이나 서사가 약하다. 모호하기만 한 이야기가 읽는 내내 답답함을 주었다.


정미경,「발칸의 장미를 내게 주었네」

- 끔찍하기 짝이 없는 우리말 잘못쓰기 교본이다. 외국어를 많이 아는 것이 자랑인가? 우리 문장이나 똑바로 쓰라. 가령 다음과 같은 문장은 우리말 문장을 잘못 사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시나몬이나 헤이즐넛 같은 향커피를 아내는 좋아했지만 그따위 인공향으로 위로받아야 할 만큼의 상처가 내 인생에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으므로 나는 블루마운틴만을 고집했다.”(p.252.) 이 문장은 주어 앞에 과도한 수식이 붙어있어 의미전달을 어렵게 만든다. 더구나 향기로 위로받을 수 있는 정도라면 감히 상처가 되기나 하는가? 지나친 호들갑이다. 만일 나에게 이 문장을 고쳐보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고치겠다. “아내는 시나몬이나 헤이즐넛 같은 향커피를 좋아했지만, 나는 블루마운틴을 고집했다.  인공적으로 만든 향기 따위로 위로받고 싶지 않아서였다.”

- 기러기 아빠라는 소재는 좋지만, 인물관계설정이나 구성은 끔찍하게도 진부하다. 감정이 과도하게 남발되어 질척거린다. 감정의 남발은 글을 천박하게 만든다. 작품의 후반에 가서 현대생활에 대한 제법 의미심장한 한 인식이 나오기는 한다. 그러나 믿음은 가지 않는다. 너무 갑자기 튀어나왔기 때문이다. 의미도 모르고 지껄였거나, 입으로만 말하고 행동은 따라가지 못하는 진실이 부족한 말이라는 혐의가 짙다.


박민규,「고마워, 과연 너구리야」

- 정말 제목 그대로, “고마워, 과연 박민규야, 너마저 없었다면 정말 우울할 뻔했어.”  이 작품이 없었다면 이번 작품집은 얼마나 퍽퍽했을까? 가장 경쾌하면서도 가장 슬픈 이야기였고, 가장 우화적이면서도 가장 현실을 잘 묘파한 작품이었다. 어쩌면 이런 환상이 우리 소설이 앞으로 갖춰야 할 부분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