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 공선
고바야시 다키지 지음, 양희진 옮김 / 문파랑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식민지 지식인들의 시각은 양가적일 수밖에 없다.
증오와 부러움 사이가 그들 시선의 위치가 된다.
압제자에 대항하여 민족의 자존과 독립을 되찾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이 한 꼭지점을 이룬다면,
선진 문명에 대한 감출 수 없는 동경과 부러움이 또 하나의 꼭지점을 이룬다.
서로 모순될 수밖에 없는 이 극단 사이에서 그들의 시선은 분주하게 움직인다.
물론 시선의 향방에 따라 행동의 양식은 매우 상이한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결국 같은 욕망이 그들을 지배한다.
우리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민족 대표 33인의 대부분이 친일에 가담했던 것, 이광수와 같은 민족주의자가 대동아공영권이라는 허술한 지배 논리에 동의했던 것, KAPF를 비롯한 사회주의 혁명론자들이 혁명과 독립을 분리해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 등이 그 증거이다.
어쩌면 이러한 모순은 식민지 지식인들의 숙명과도 같은 것이었으리라.
그들은 남들보다 먼저 눈을 떴고, 더 많은 것을 보았다.
자연스레 더욱 강한 욕망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그들은 누구보다 조국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고, 그것에서 탈피하고 싶어했다.
자연히 욕망은 자랄 수밖에 없었다.
시선은 욕망이 싹트게 만들고, 한계는 욕망을 자라게 만든다.
고바야시 다키지가 1929년에 발표한 소설 <게공선>을 읽으면서, 나는 다시 한 번 식민지 지식인들의 심리를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 문학사에서 국제적인 안목을 갖추고 있던 작가들은 이상이나 박태원 등의 모더니스트들 뿐만 아니다. KAPF와 동반자 작가들의 작품 역시 그러하다.
특히 모더니스트들이 형식과 기법을 통해 국제적인 감각을 드러냈다면, KAPF와 동반자 작가들은 내용과 인식을 통해 같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고 본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백신애의 <꺼래이>, 이기영의 <고향>, 임화의 <우산 받은 요코하마의 부두>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런데, 당대 최고의 국제적 감각을 가지고 있던 그들도 일본의 계급문학, 특히 NAPF의 직접적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그것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사례가 바로 이 <게공선>이다.
이 작품의 창작방법론은 교과서적이다.
사회 문제를 극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전형'으로써의 한계 상황을 제시하고 있고, 그 속에서 모순을 자각하고 '학습'을 통해 주체적으로 변모하는 인물들을 그려내고 있으며, 묘사 역시 '현장감'을 드러낼 수 있도록 생생하다.
사실, 이 작품을 읽게된 계기는 위와 같은 문학사적 관심 때문이 아니라,
일본에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빈민, 양극화, 워킹푸어(working poor) 문제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cf. 아마미야 카린, <성난 서울> http://blog.aladin.co.kr/rahula/3978782 )
그런데 작품을 읽고 보니, <게공선>이 21세기의 사회문제를 대표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단지 내용 상의 유사성 때문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표현과 상황 설정의 대표성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었고, 그런 것들이 현재에도 받아들여질 수 있을 정도로 세련되었기 때문이었다.
다음과 같은 구절이 대표적인 예인데, 우리의 현실에 적용해도 무리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증언이다.
|
|
|
|
“살해당하는 걸 안다면? 바보야, 언제야 그게. 지금 살해당하고 있잖아. 조금씩 살해당하고 있잖아. 조금씩 말이야. 저놈들은 굉장히 능숙해. 권총은 당장이라도 쏠 것처럼 언제나 가지고 있지만, 그렇게 간단히 경솔한 짓은 안 해. 그건 수단이야. 알겠어. 저놈들이 우리들을 죽이면 자기들한테만 손해란 말이야. 진짜 목적은 우리에게 일을 많이 시켜, 기름틀에 넣고 꼭꼭 짜내듯이 돈을 잔뜩 버는 거야. 그렇게 지금 우리는 날마다 당하고 있는 거란 말이야. 어때, 여기를 보라구, 엉망진창이잖아." : pp.153-154. |
|
|
|
|
그러나 안타깝게도, 앞서 언급한 우리 계급문학의 대표작, 즉 백신애, 이기영, 임화의 작품에서 <게공선>과 같은 세련됨을 느끼지 못했다.
현재에도 그러하다면, 같은 시대를 공유하면서 활동했던 작가들이라면 더욱 큰 부러움과 질투를 느끼지 않았을까?
언제나 그렇듯, 뒤쳐진 자는 서럽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먼저 눈뜬 자들은 더욱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