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돌파의 사고력 - 스마트비즈니스맨시리즈 1
히비노 쇼조 지음, 양억관 옮김 / 대교출판 / 1997년 9월
평점 :
절판
내용 자체는 여타의 자기개발서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다음과 같은 3가지 구절들이 이 책의 가치를 높여준다.
우선, 책의 기본 주제를 드러내는, 구절 하나
 |
|
|
|
현자는 하루에 세 번 생각을 바꾸지만, 어리석은 자는 한 번도 바꾸지 않는다. 현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자기 자신을 잘 적응시킨다. 하루에 세 번 생각을 바꾸는 것은 하루에 세 번 새로운 일을 발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리석은 자는 아무 것도 만들어 내지 않기 때문에 절대로 변화하지 않는다. - p.107.
|
|
|
|
 |
다음으로 나를 반성하게 만들었던, 구절 둘
 |
|
|
|
데이터를 측정하고 보고서를 만드는 것은 괜찮은 일이긴 하다. 그러나 측정이나 데이터에는 반드시 목적이 있어야 한다. 데이터 수집에는 다음과 같은 위험이 따른다.
a. 데이터는 상황 이해의 수단에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바다에 빠져버릴 위험.
b. 필요한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를 마구 뒤섞어 버릴 위험.
c. 데이터의 결과는 같아도 원인은 다를 수 있다. 그것을 인식하지 못할 위험.
d. 데이터를 모으는 것만으로 만족해 버릴 위험.
- pp.90-91. cf. 혼다 소이치로의 인터뷰 中
|
|
|
|
 |
마지막으로 정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던, 구절 셋
 |
|
|
|
상사의 말을 일단 들어 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사가 모르는 사이에 브레이크스루 사고의 제원칙을 주어진 테마에 적용시켜 보는 것이다. 올바른 목적과 바람직한 모습을 찾아내면, 상사가 추구하는 과다한 정보를 잘 처리하는 방법이 보일 것이다.
상사에게 제출하는 보고서는 다소 그가 추구하는 것과 다를지도 모르지만, 그 해결책이 어김없이 비용 감소와 품질 향상을 실현한다는 사실이 증면되면 상사도 잔소리를 하지 못할 것이다. 처음부터 브레이크스루 사고를 늘어 놓을 필요는 없다.
- pp.124-125.
|
|
|
|
 |
이 구절들에 감사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짧은 분량에 다시 한번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