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리스트의 파라솔
후지와라 이오리 지음 / 동방미디어 / 199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에서, 아니 모든 이야기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만큼 매력적인 것이 또 어디 있겠는가? 우리는 매력적인 인물들의 매력적인 삶을 엿보기 위해서 이야기를 읽고, 보고, 듣는다.

특히 그 이야기가 추리소설일 경우에는 캐릭터 창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추리소설이야 말로 매력적인 인물들의 매력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물론, 이 경우의 매력은 악당으로의 매력일 수도 있고, 정의의 수호자로서의 매력일 수도 있다).

마치 소설 속의 인물들이 그런 변화를 겪었던 것처럼, 추리소설 속의 인물들도 같은 변화를 거쳐 왔다. 즉, 추리소설의 주인공들은, 슈퍼맨적인 영웅호걸의 모습에서, 음울하고 냉정하고 이기적인 탐정으로, 샐러리맨과 별다를 것 없는 형사로, 그리고 탐정도 형사도 아닌 평범한 인물로 변화했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몇몇 사람들의 영웅적인 활약에 의해 좌우되었던 시스템에서, 철저히 기계적으로 통제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사회구조가 바뀌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즉, 현실 속의 수사현장이 과학화되고 분업화되고 전문화되는 것에 맞추어, 추리소설의 주인공들도 변화되었던 것이 아닐까? 결국 소설이라는 것은 세상을 비추는 거울이라면, 추리소설은 그 중에서도 범죄와 미스테리를 전문적으로 비추는 거울이 될 테니 말이다.

그런데 추리소설에서 매력적인 인물은 추적자 역할을 하는 주인공만이 아니다. 오히려 그의 상대자 역할을 하는 범죄자도 역시 매력을 가질 수 있다. 우리는 괴도신사 루팡를 기억하고, 엽기적인 살인마 한니발 렉터 박사를 기억하며, 급진적인 테러리스트 인민군 장교 박무영을 기억한다. 그들은 분명히 범죄를 저지르고 있지만, 우리는 그들을 기억하고, 심지어는 매력을 느끼기까지 한다.

정의를 지키려는 자에 대한 동경과 파괴하려는 자에 대한 동경. 그것은 분명히 상반되어 있지만, 동일한 감정이다. 이 두 가지는 모두 우리 마음속에 들어있다. 추리소설이야 말로 우리 안의 천사와 악마가 사투를 벌이는 아마겟돈의 현장이다.

이처럼 좋은 추리소설이 되기 위해서는 선과 악, 두 편의 인물들이 모두 매력적이어야 한다. (물론 아서 코난 도일의 허락을 받았던 것은 아니고, 모리스 르브랑의 의해서 만들어진 이야기이지만) 루팡과 홈즈의 대결이 추리소설 독자들에게 인기를 모으는 것도 그런 이유이다.

그런데 이 작품에는 선과 악의 두 편이 모두 매력적으로 만들어지지는 못했다. 추적자에 해당하는 가쿠치의 매력은 충분하지만, 그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구와노는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진다. 즉, 인물들 사이의 균형감각이 유지되지 못했던 것이다.

알코올 중독자이면서 바텐더인 가쿠치, 그는 학생운동을 하다가 폭탄테러에 연루되어 도피생활을 하는 인물이고, 테러의 목격자이면서 사건의 전모를 밝히는 탐정 역할을 한다. 그의 과거와 현재는 천천히 드러나며, 그렇게 때문에 충분한 매력을 보여줄 수 있었고, 독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구와노의 경우는, 과격파 학생운동가면서 테러리스트이고 대기업의 전무이기까지 한,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는 여지를 가진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체가 후반부에 집중적으로 노출되고, 자신의 독백을 통해서만 일방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공감도 얻지 못하고, 매력도 얻을 수 없었다.

역시 중요한 것은 구상뿐만이 아니다. 그러한 구상을 어떻게 표현해낼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상상하는 것은, 떠올리는 것은, 말로 토해내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그 사람이 바로 작가이고, 그 표현능력이야 말로 작가의 능력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