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폴 오스터 지음, 김경식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살아가는 것, 그것이 특별한 경험은 아니다. 하지만 작가의 태생이 원초적 체험을 만들고, 그것이 어떤 식으로든 그가 창조한 인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자연에서 자란 작가가 만든 인물과 도시에서 자란 작가가 만든 인물은 다르다. 자연을 원초 체험으로 삼는 작가의 인물이 고향을 이상향으로 품고 있는 반면, 도시를 원초 체험으로 삼는 작가의 인물은 이상향을 가지지 못한다.

이상향을 품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일상에서야 다른 점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사람을 대하는 자세에서 차이가 난다. 이상향을 품은 사람들은 마을공동체적 관계를 기본으로 하지만, 이상향이 없는 사람들은 개인적 관계를 기본으로 한다.
그것만이 아니다. 둘의 차이가 극명해지는 것은, 절망의 순간에서이다.

이상향을 품은 사람들은 절망에서도 돌아갈 곳이 있다. 고향이 사라지지 않는 한 그는 진정으로 절망하지 않는다. 아니, 고향이 사라졌더라도 절망하지 않는다. 현실의 고향은 사라졌더라도, 그의 기억 속에 고향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상향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은 쉽게 절망한다. 돌아갈 곳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로 그러기에 그는 절망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다. 애초부터 잃을 것이 없었으니까.

시대가 변했다. 작가들도 대부분 도시 태생이다. 이제 진정한 의미의 시골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동체는 붕괴되었고, 산업화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곳은 없다. 모든 곳이 도시가 되어버린 마당에, 그런 이분법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도시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은 쉽게 만나고 쉽게 헤어지고 오롯이 혼자다. 폴 오스터는 그런 사람들의 특징을 잘 표현한다. 그의 작품에 나오는 인물은 혼자 살고 혼자 절망하고 혼자 절망을 이겨낸다. 이상향을 품은 사람이 절망 앞에서 다른 곳으로 떠나버린다면,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은 도망치지 않는다. 그는 절망 속으로 추락하고 추락하고 또 추락해서 바닥까지 떨어진다. 이것이 그의 인물들이 가진 특징이다.

다른 사람들은 쉽게 찾아왔다 쉽게 떠나가는 거리, 그 거리의 모퉁이에서 그들은 버티고 있다. 견딜 수 있을 때까지 견디기 위해서,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티기 위해서. 오기 렌이 담배가게 앞에서 사진을 찍어, 스쳐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기억 속에 담아두는 것처럼. 이것이 바로 도시를 살아가는 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