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으로의 긴 여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개는 참으로 매력적인 소재다. 작가라는 인간들이, 혹은 독자라는 인간들이 천형적으로 우울증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또 모를까, 그렇지 않은 다음에야, 안개만큼 매력적인 소재도 있을 수 없다. 김승옥의「무진기행」에서의 안개가 그러했고, 한수산의「안개, 가시거리」가 그러지 않았던가? 또한 마이클 커티스 감독의 영화 '카사블랑카'에서 안개 자욱한 활주로에서의 이별 장면은 어떠했으며, 테오 앙겔로플로스의 영화 '안개 속의 풍경'에서 두 꼬마가 걸어야 했던 길가의 안개는 또 어떠했던가? 이 모든 작품들이 울림을 만드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안개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매력적인 소재인 안개를 효과적으로 잘 사용하고 있다. 파멸을 뻔히 예감하면서도 브레이크를 잡을 수 없는 사람들의 심정, 증오와 애정이 함께 표현될 수밖에 없는 가족이라는 관계, 과거와 현재의 혼선, 결국에는 독백이 되어버리고 마는 대화. 이런 것들을 표현하는데, 안개는 탁월한 배경일 수밖에 없다. 작가의 카리스마는 결국 작품에 대한 장악력이 아니겠는가? 그런 점에서 유진 오닐의 이 작품은 카리스마가 넘치는 작품이다. 요즘에는 이것처럼 시종일관 독자/관객을 압도하는 작품이 많이 나오지 않지만, 그래서 더욱 신선한 독서경험이었다. 나도 이런 글을 쓰고 싶다는 욕심이 든다. 그러나, 내 가슴은 너무 겁이 많고, 내 손은 너무 무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