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에게 나는 법을 가르쳐준 고양이
루이스 세뿔베다 지음 / 바다출판사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환경문제는 정치문제와 같아서, 항상 견딜만한 법이다. 나빠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하더라도, 바로 그 견딜만하다는 사실 때문에, 지금 당장 고쳐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 하지만 견디고 견디다 보면 어느새 돌이킬 수 없는 지경이 되고 만다.

우리의 문학에서 환경문제가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지금 당장은 견딜만하다는 점, 그래서 작가 자신도 그 문제에 주목하지 못하고, 독자들도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분명히 문학이란 사회를 향해서 민감한 더듬이를 내밀고 있는 예술장르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물론, 환경문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환경시'라고 불리는 일련의 작품들이 있었고, 김원일의 <도요새에 관한 명상>과 같은 작품이 있었다. 그렇지만 이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인데, 위에서 언급한 이유가 크겠지만, 또 다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바로 (과도하게) '선명한 갈등구조'이다.

환경문제는 선악의 구분이 너무나 뚜렷하다. 환경을 파괴하는 사람들은 악한 자들이고, 환경을 지키려고 하는 사람들은 선한 자들이다. 이처럼 선명한 구분은 작품창작을 제한한다. 모든 예술은 기본적으로 자유롭기를 바라는데, 그것은 현실에 작용하는 억압뿐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낸 형식과 구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끊임없이 새로운 사조가 만들어지고, 끊임없는 실험이 이루어지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그러므로 너무나 뻔한 구조, 너무나 뻔한 대립은 작가들에게 흥미를 끌 수 없는 것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작가도 있다. 그러나 그런 작가들에게 매너리즘의 유혹은 얼마나 가까이 있는가?) 갈등구조가 선명한 것만큼이나, 해결방법 역시 간단명료하다. 환경을 지키면 되는 것이다. 다른 해결이 있을 수 없다. 그러니 이것도 역시 또 하나의 제약으로 작용한다. 환경문제를 다룬 우리의 문학작품들도 이러한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 작품은 이와 같은 한계에 대한 하나의 해결을 보여준다. 동화야말로 갈등과 해결을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의 관점을 벗어나 동물의 관점으로 환경문제에 접근했다는 것은 매우 의미를 가진다.

근대 이후 발생한 대부분의 사회문제는 인류가 만들어냈고 해결해야 할 문제였지만, 환경문제만큼은 인간들만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표현이 조금 거창하기는 하지만) 환경문제는 전지구적인,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들의 문제이다. 이러한 인식이 환경문제를 다루는 문학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참, 이 작품의 특징을 넘어갈 뻔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은 재미있다. 꼭 한번 읽어보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