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어주는 여자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저자는, <읽어주다>라는 말의 뜻을 모르고 있다. 아니, 읽어<주다 >라는 것은 고사하고, <읽다>라는 말의 뜻도 역시 모르고 있다. <읽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읽는다는 행위는 어떠한 대상을 자신의 감각과 의지를 동원하여 파악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읽기'는 흔히 '보기'와 구별된다. 보는 것은 1차적인 행위, 즉 즉물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에 비해서 읽는 것은 자신의 가치판단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분명히 다르다.예를 들어, 어떤 글을 보고나서 '재미있다' 또는 '지루하다' 등의 말을 한다면, 그것은 단순히 글을 '보는' 행위가 된다. 그렇지만 그 글이 왜 재미있었는가, 혹은 왜 지루했는가를 이야기하는 순간, 그 행위는 <읽기>가 된다. 우리가 글 뿐만이 아니라, 영화나 드라마, 광고, 그림 등등에도 '읽기'라는 말을 쓸 수 있는 것은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그림을 읽고 있지 않다. <읽기>라는 행위의 출발은 텍스트 그 자체에 있다. (물론, 텍스트에서 출발하여 사회문제나 이데올로기의 문제로까지 확산되는 경우도 없지 않으나, 그런 경우라도 역시 출발점은 텍스트이다.) 이 책에서는 텍스트가 되는 그림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단편적인 미술사적인 정보를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그림을 <읽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단지 그림을 '소개'하고 있을 뿐이다. 그것도 그림 자체와는 별반 관계도 없는 자신의 인생역정이나 단편적인 감상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 부분에 대해서라면, 별로 말을 하고 싶지 않다. 그림으로 표현되었더라면 또 모르겠지만, 글로 표현된 그런 부분들은 싸구려 수필집들과 별반 차이가 없다.)

이처럼 <읽기>도 하고 있지 못하면서, 제목은 거창하게 '그림 읽어<주는> 여자'라고 달았다. 읽어<주다>라는 말은 무엇인가? 자신의 <읽기>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겠다는 의미이다. <주다>라는 말에서 교육적인 어감을 찾을 수도 있지만, 그것까지는 기대하지 않는다. 다만, 자신의 감상을 타인과 교류한다는 정도로 생각하고 싶다. 이처럼 의미를 축소시킨다고 해도, 이 책의 오류는 사라지지 않는다. 앞서 지적했던 것처럼, 저자는 너무나 개인적인 내용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읽기>도 읽어<주기>도 되지 못한다. 그녀가 읽어주어야 할 것은 '그림'이지, 다른 사람의 인생역정도 별로 다르지도 않은 개인의 과거 따위가 아니다. (그런 것을 보려면, 연예인들의 수필집이나, 정치꾼들의 자서전을 보라. 그거에 훨씬 절절하고 감상적이면서도 파란만장한 인생이 담겨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