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열기 민음사 세계시인선 57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1999년 8월
평점 :
품절


번역된 작품에서 시적인 감상을 얻는 것은 무척이나 힘든 일이다. 왜 힘든가? 그 이유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찾아볼 수 있다.

1) 그 나라 말 특유의 운율과 상징을 느낄 수 있는 번역이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덕분에 번역된 모든 시는 우리에게 자유시나 산문시로 읽히기 쉬운데, 그것은 이 작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보르헤스의 시선집이니 자유시를 추구했던 초기의 작품과 정형시를 추구했던 후기의 작품을 모두 망라하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책의 제목을 문제 삼을 수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열기』는 보로헤스의 시집 제목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이 시집에 대한 번역이 아니라, 시선집에 가까운 성격이다. 물론 국내에는 별로 알려지지 않은 보르헤스의 시를 한 작품이라도 많이, 그리고 다양하게 소개하려는 노력은 이해되지 않는 것이 아니지만, 자칫 이런 식의 제목달기는 독자에게 혼란을 가져다줄 수도 있다. 나 역시도 당연히 한 권에 대한 번역으로 생각하고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2) 번역된 외국 시를 읽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 중의 하나는, 각주의 문제이다.

의도적으로 각주를 사용하는 시작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작품에서 각주는 독서의 흐름을 방해한다. 더구나 시와 같이 작품의 내적 흐름이 강조되는 장르에서는 각주의 사용은 참으로 큰 걸림돌이다. (시에서 각주보다 미주를 많이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물론 번역자들은 작품에 대한 이해를 좀더 친절하게 해주기 위해서 각주를 사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해보다는 감상에 더 비중이 실렸어야 하지 않을까? 꼭 이해가 필요한 내용이라면, 작품이 끝난 뒤에 짤막한 해설을 다는 것이 더 효과적인 번역이 되지 않을까? 보르헤스의 소설전집을 읽을 때도, 그 엄청난 각주의 양에 질려, 정작 본문의 내용에 집중하지 못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그보다야 덜하지만, 이 책에서도 각주로 인해서 자연스러운 감상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