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들의 사생활
이승우 지음 / 문학동네 / 2000년 9월
평점 :
품절


역시 이승우, 성실한 작가. 한 땀 한 땀 작품의 구석구석까지 신경을 쓰는 믿음직한 작가. '고지식할 정도로 진지하고, 두려울 정도로 신랄하게 지배와 억압을 비판하며, 관념의 토르소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사변적인 작가'라는 평을 받을 정도로, 그의 성실함은 이미 정평이 나있다. 그러나 그만큼 작품이 답답한 것도 사실이다. 이 작품에서도 그 답답함은 가시지 않고 있다. 역시 관념과 사변이 충만하다. 다만 위안이 되는 것은 그것이 가볍지 않고 감각적이지도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진실성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우선 문제가 되는 것은 話者인 '나'의 성격에 대한 문제이다. 작품의 초반에서 '나'는 사변적이고 일정한 지적인 수련을 거친 인물처럼 묘사된다. 특히 그가 내뱉는 사랑이나 편애에 대한 분석은 무척이나 날카롭다. 그러나 중반에 이르러 드러나는 그의 과거는 매우 충동적이며 분노에 찬 인물로 자신을 설명하고 있다. 몇 번인가의 가출과 돌출행동, 그리고 맹목적인 저항. 초반의 면모는 퇴색되어 잘 드러나지 않는다. 후반이 되면서 그의 성격은 다시 변화한다. 이제 그는 평화와 화해의 전도사로 변모하여, 지금까지 보여준 분노를 잠재하고 있는 인물에서 탈피한다.

물론 등장인물의 성격이 항상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특히 장편소설의 주인공인 경우에는 변화하지 않는 인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다만 그 변화의 전개가 극단적이지 않고 타당성을 확보하느냐가 문제가 될 뿐이다. 사실, 결과만으로 보자면, 변하기 전과 변화된 후의 간극이 클수록 흥미를 끌 수 있다. 즉, 극단적인 변화일수록 더욱 극적인 반전의 효과가 크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런 효과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정교한 구성이 요구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화자의 경우에는 그 변화의 과정이 극단적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으나, 충분한 타당성을 가진다고도 판단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칫 다중인격을 가진 인물로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인상을 받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이유에 대해서는 더 많은 고민이 있어야 하겠지만, 우선 그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는 상황을 설명하고(과거를 회상하면서까지), 사건을 진행시키며, 마지막에는 의미를 부여하기까지 한다. 상황에 대한 설명이야 어느 인물이나 가능한 것으로 치부한다고 하더라도, 사건을 진행시키는 것은 행동적인 인물의 몫이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사색적인 인물의 몫이다. 그런데 작품의 화자인 '나'는 이 두 경향을 모두 혼자 짊어지고 있다. 그러니 그의 성격은 통일되지 못한다.


다음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작품의 후반부, 즉 '나무'라는 상징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부분에 대한 문제이다. 나무에 대한 의미부여는 a) 어머니의 야자나무, b) 나의 상상, c) 그녀의 꿈, d) 형의 노트 등의 네 가지 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문제는 이들이 서로 다른 상황, 서로 다른 시간에서 그 의미를 떠올리는데도 불구하고, 그들의 목소리가 모두 같다는 점이다.

이 부분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가 이 작품을 통해 이루어지는 독서의 중요한 문제이다. 이 부분에 대한 독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1) 작위적이라고 판단될 수도 있고, 2) 자연스럽지는 않지만, 무리 없이 읽힐 수도 있다. 2)의 경우라면 상관이 없지만, 1)의 경우라면 이 부분은 작품의 흐름에 큰 결점이 된다. 구조적인 면은 이 부분으로 인해 더욱 견고해지지만, 독서의 흐름에서는 그리 좋은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는 없다.

작가는 이러한 점을 몰랐을까? 성실한 작가 이승우가? 알았다면, 그것을 감수하고서라도 이런 구성방법을 사용해야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그만큼 '나무'의 상징성이 강하기 때문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VERTIGO 2008-10-01 1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우선 이 소설의 구조에 대해 말씀드러야 하겠는데요. 우선 주인공의 성격변화를 보면
이 소설은 <극화되어 있는 소설>입니다. 긴 시간에 이루어지는 드라마가 아닙니다. 그러니 성격변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요. 그의 성격은 낭만주의자의 그것을 빼 닮았습니다. 병적인 성격이라는 것입니다.
나무의 의미는 우선 형식과 구조를 볼 때 어머니로 이어지는 이야기와 형의 이야기로 이어지
는 이야기가 너무나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대구>의 형식을 가지기에 나무의 의미는 어쩔
수 없이, 혹은 당연히 같은 의미를 지닐 수 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미 이야기의 두
가지 구조가 완전히 일치하고 있습니다. 어머니와 비서관과의 이룰 수 없는 사랑과 형과
순미가 이룰 수 없었던 사랑이 말입니다. 물론 이야기는 다르지요. 당연한 말이지만,
기표는 다르지만 기의는 같습니다. 그렇기에 나무의 신화가 같을 수 밖에. 이승우 씨가
이야기를 만들면서 이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