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화밭 엽기전
백민석 지음 / 문학동네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엽기(獵奇)'의 사전적인 의미는 '괴이한 것에 흥미가 끌려 쫓아다니는 일'인데, 이 작품은 그러한 정의에 충실하다. 일단 그 소재에서부터 괴이한 것들이 등장하는데, 시체 유기·포르노그래피·신경쇠약·폭력·유괴·SM플레이·살인·방화 등이 난무한다. 무엇보다 섬뜩한 것은 작품 속의 주인공들이 그러한 괴이한 일을 행하는 주체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점이 그의 前作 {내가 사랑한 캔디}와 구별되는 점이다. 그 작품에서도 역시 주인공이 선하지만은 않지만, 적어도 시대적이고 사회적인 폭력을 전면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간의 순결성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시대성/사회성을 배제했기 때문에 주인공은 전혀 동정할 수 없는 인물로 그려진다.)

물론, 주인공과 그의 아내의 심리에는 적지 않은 트라우마(trauma)가 포함되어 있으며, 표면적으로 내보여지는 성격에도 적지 않은 이중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점들은 이 소설이 흥미위주의 탐정소설이나, 도덕과 교훈이라는 사탕발림을 한 악한소설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흥미로운 장치이다. 즉,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서, 두 주인공은 善과 惡이라는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前作에 비해서) 감추어져 있다고는 하지만, 시대적/사회적인 폭력성에 대한 비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비판은 야성을 잃어버린 동물들이 갇혀 사는 '동물원'이라는 공간과 야성을 잃어버린 인간에게 대리만족을 주는 '서울랜드'의 '모험의 나라'라는 공간을 통해서 제시된다. 그런 점에서 주인공이 벌이는 마지막 싸움이 '서울랜드'의 '킹 바이킹'을 무대로 하고 있다는 점은 다소 시사적이다. 제도적인 울타리에서 제도에 벗어난 자의 마지막 몸부림이 벌어지는 것이다.

그렇지만 아무리 이런 장치들로 치장을 한다고 해서, 두 주인공의 행동이 용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작가의 책무라는 명제는 낡아버린 것에는 틀림없으나 여전히 유효하다. 한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는 그 시대에 편승할 수 있는 자유와 그 시대를 변화시켜야 할 책임을 가진다. '엽기'가 하나의 문화코드로 제시되고 있는 요즘, 이 작품은 그런 흐름에 편승하고 있는 자유를 누렸다. 그 자유 속에는 그러한 흐름을 비판해야 하는 책무도 함께 들어있다는 것을 작가는 잊은 것이 아닐까? 작품의 어디에도 비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부분은 없다. 백민석이라는 작가가 이를 언제 드러낼지, 기다려야 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