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문학사상 세계문학 14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199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한 세기 전의 작품이니 그 감각이나 정서에 동감할 수는 없었지만, 중간중간 드러나는 재기 넘치는 비판과 풍자는 주목할만한 부분이었다. 그러한 비판/풍자는 인간의 속물성에 화살을 겨냥하는데, 가령, '이 정도 일로 만일 웃는 자가 있다면, 그것은 인간이라는, 발이 두 개가 모자란 멍청이임에 틀림없다'라는 구절이 그 좋은 예가 된다. 이처럼 이 고양이에게 사람이란 멍청하고 추악한 존재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이 작품에는, 서구 세력에 대한 일본의 열등감도 나타나 있다. 이것은 '근대화'라는 변혁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고 있는 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동양의 정신'을 이야기하는 인물들이 등장하고는 있으나, 그들은 모두 시대에 뒤떨어진 인물로 희화되어 버린다. (그러나 그러한 희화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동양의 정신'이 언급되고 있다는 점, 그것이 식민지배를 받지 않고 근대화를 수행할 수 있었던 나라의 특권이 아닐까?)

나체 신봉자만 해도 그렇다. 그렇게 나체가 좋은 것이라면 자기 딸을 벌거숭이로 해서, 덩달아 자기 자신마저 벌거숭이가 되어 우에노 공원을 산책이라도 해보란 말이다. 못하겠다고? 못하는 게 아니고, 서양인이 하지 않으니, 자신도 하지 않는 게 아닐까. 사실상 이 불합리하기 짝이 없는 예복을 입고 테이코쿠[帝國] 호텔 같은 데로 출입하지 않느냐. 그 사연을 물어보면 별 것이 아니다. 그저 서양인이 입으니까 나도 입는다는 것뿐일 테지. -p.288.

이외에도 눈에 걸렸던 것은, 작품 속에 녹아있는 군국주의적인 요소이다. 물론 이는 이 작품만의 특징이라고 하기는 힘들고, 당시 일본이라는 사회가 가지고 있는 시대적인 정신병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런 생각은 피해망상일 수도 있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