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은 왜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소설쓰기란 무엇인가? 많은 작가들의 오만한 참회처럼, 힘겨운 求道行인가? 혁명의 수단인가? 아니면 서글픈 마스터베이션인가? 이 정의들은 모두 맞고 또한 모두 틀리다. 이는 소설쓰기를 통해서 파생된 결과임에는 분명하지만, 본질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소설쓰기, 나아가 소설이라는 예술작품의 본질은 무엇인가? 다양한 정의가 있겠지만, 핵심은 이야기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은 전설과 닮아 있으며, 소설쓰기는 전설 만들기의 근대적 변형이다.

근대는 무엇인가? 거칠게 말하면 '사회적인 자아의 패러다임이 개인적인 자아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했던 시대적인 특징'이다. 이를 통해 '전설'이라는 사회적 자아가 '소설'이라는 개인적 자아로 전환되었다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하나, 간과했던 부분이 있다. 창조자의 태도에 관련된 부분이다. 전설의 창조자는 전설을 만든다는 것을 알 뿐, 그 행위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유롭게 이야기를 변형시킬 수 있었다.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오직 이야기일 뿐, 그것이 독창적인 이야기인지, 어떤 진실을 담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마찬가지로 소설의 작가들은 자신이 창조하는 작품이 가진 의미를 알 뿐, 자신의 작품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감히 진실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고, 작품에, 혹은 작품을 만드는 행위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그런데 왜 문제인가? 소설이 이왕 이야기라면, 의미 있는 이야기가 좋지 않은가? 물론 그렇다. 그러나 알아버렸다는 것, 그것이 문제다. '개인적인 자아'라는 것을 몰랐을 때에도 나는 충분히 행복했다. 내 이야기가 이미 누군가에 의해서 만들어진 전설을 변형시킨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모른다면, 스스로 독창적인 재담가라고 만족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내게 독창적이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는 것을 알아버린 뒤로, 전설은 더 이상 만족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독창적인 이야기, 즉 소설이 요구되었고, 그것은 독창적이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에조차 의미를 담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나는 또 한 번 알아버렸다. 독창적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전혀 독창적이지 않다는 것을, 진실이라고 생각하고 소설에 부여한 의미들은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이런 인식에서 발생하는 것이 '탈근대적 글쓰기', 즉 작가가 유별난 개인임을 포기하고 글쓰기 과정을 그대로 폭로하는 것, 바로 메타 픽션이다. 아랑의 전설이 있고, 그 전설에 감춰진 또 다른 진실을 밝히는 소설이 있으며, 결국 그것은 소설 속의 허구에 불과하다는 것을 폭로하는 메타 픽션. 이것이 이 작품의 구조이다. 액자 속에 또 다른 액자가 들어있는 형상.

그러나 의문은 남는다. 그래서 결국 무엇이 남는다는 말인가? 진실이라고 믿었던 것이 진실이 아니고 다른 진실이 존재했으며, 진정한 진실이라고 믿었던 다른 진실도 진실이 아니고 또 다른 진실이 존재한다는 것. 그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사실, 이 질문을 해결하는 방법은 질문 밖에 있다. 소설에서 의미를 찾는다는 것 자체가 근대적인 발상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그런 근대적 발상을 뛰어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그런 질문을 던지는 행위부터 잘못이다. 애당초 의미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쓰여진 작품이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다시 의문을 던진다. 그러나 그 의도도 역시 본질적인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고. 소설은 이야기이고. 이야기는 끝나지 않는 것이라고. 전설처럼, 끊임없이 작가와 독자에 의해서 재생산되는 것이 이야기이다. 조금씩 업그레이드되어 가면서. 소설도 역시 마찬가지. 여행이 끝나자 길이 시작되었다는 말처럼, 작품은 끝나지만 독자들에게 전해지는 이야기(감동)는 새롭게 시작된다. 그런데 메타 픽션은 여행의 허망함을 폭로해버렸다. 허망함을 알았으니 누가 다시 길을 가려 하겠는가? 메타픽션이 이야기가 되려면 결국 그 허망함을 딛고 다시 길을 떠날 수밖에 없다. 이 작품의 결말이 다시 시작으로 되돌아가는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