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의 집 - 1998 제1회 21세기문학상 수상작품집
이청준 지음 / 이수 / 1998년 2월
평점 :
절판


- 이들 작품 중에서 내가 관심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이청준과 최윤의 작품이었다.

- 이청준,「날개의 집」

이청준의 작품은 독자에게 기본적인 신뢰감을 준다. 그것은 그가 지나온 작품 여정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그의 작품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匠人, 혹은 藝人들의 모습처럼, 그는 한땀 한땀 느리지만 견고하게 문장을 엮어나간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게서 재기발랄한 감수성을 느낄 수는 없으나, 견고한 사상과 철학을 느낄 수는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마찬가지. 그가 그려내고 있는 한 화가의 일생은 진부할 수도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청준의 손에 의해서 씌여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의미를 부여받는다. 제목에서도 나타나는 것처럼, 날개와 집이라는 두 개의 상징물로 대변되는 자유로운 예술혼과 일상적 생활 사이의 갈등과 화해가 이 작품의 주제이다. 그리고 이 두 대립항은 작품 속의 화가에게 있어서 솔개와 소의 이미지로 구체화된다. 결국 이 소설은 소이기를 거부하고 솔개가 되고자 했던 화가가, 결국 소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통해서 솔개와 소의 공존과 화해를 찾아내는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작품의 제목은 '날개'이거나 '집'이 아니라, '날개의 집'이 될 수 있다.

- 최윤,「파편자전-사물이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방식」

최윤의 소설은 어렵다. 어려운 소설은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관념적이고 본질적인 주제를 선택하거나, 장문의 의고체 문장을 사용하거나, 서술의 시간을 뒤섞어 놓거나, 혹은 작가의 시점을 미분화시키거나, 이런 경우들이 소설이 어려워지기 쉬운 경우들일 것이다. 최윤의 소설은 이중에서도 가장 마지막 경우에 해당한다. 그녀의 작품들에 있어서 작가가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철저하게 미분화되고 있다. 사물 하나, 사건의 작은 일부분, 기억의 어느 한 조각, 인물 심리의 한 단면 등에 작가의 관심이 놓인다. 그녀의 작품 속에는 전체에 대한 통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혹은 의도적으로 그러한 통괄을 약화시킨다.) 이것이 그녀 소설의 특징이다.

이 작품도 그런 미분화된 시각을 통해서 구성되고 있다. 작품의 전체를 아우르는 시각이나 서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특정 사물에 대한 기억들이 모여 작품을 구성하고 있다. 그야말로 파편들이 모여 작품을 만들었다. 글쎄, 이런 류의 작품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한다. 특히 우리의 지난 소설들이 사물에 대한 인간 중심의 편의적 해석에 빠져있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작업의 필요성은 절실할 정도이다. 그러나 여전히 떠오르는 의문은 감출 수 없다. '이야기가 배제된 소설을 소설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